항목

  • 선바위산
    북동에서 남서방향으로 뻗어 있다. 남쪽과 북쪽 사면에서 임진강과 곡산천의 지류가 각각 발원하며, 이들 하천에 의해 협곡이 발달했다. 신갈나무·사스래나무·소나무·잣나무 등의 혼합림이 있으며, 오미자·머루·다래·고사리 등이 풍부하다. 서남쪽에는 새덕령이 있으며, 북쪽으로는 곡산천이 곡산분지를 흐르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사덕산 寺德山
    평탄면에는 분비나무·가문비나무·사철나무·자작나무 등 혼합림이, 아래쪽에는 참나무·고로쇠나무·단풍나무를 비롯한 활엽수가 자라고 있다. 머루·다래·고사리·버섯 등이 풍부하며, 평탄면에서는 감자·무를 재배한다. 일대는 도내 주요 임업생산지역의 하나이며, 비금속광물들이 매장되어 있다. 동남쪽으로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비래봉 飛來峰
    이루나, 전사면이 비교적 급경사이며, 좁고 깊은 골짜기들이 형성되어 있다. 동쪽 사면에서는 남천·송계천의 지류가 발원하며, 산세가 매우 험하다. 머루·다래 등이 많이 나며, 고비·고사리·참나물을 비롯한 산나물류와 버섯류가 매우 풍부하다. 곰·멧돼지·산양·노루 등 많은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고급가구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삼산은 반락
    비슷하다. 흥겨운 느낌을 준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삼산은 반락 청천외요, 이수중분으 백로주로구나(1) 저기 뗬는 저 구름은 무슨 비바람을 품었든고 치자 다래 그린 유문지유사(2)로/이리 접첩 저리 접첩 몾어 보고/무릎 밑에 진듯이(3) 눌렀다 머리를 동이고/반폭 치맛자락을 에둘러쳤네 말은 가자 네 굽을 치는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칠보산 七寶山
    소나무를 비롯한 침엽수림과 떡갈나무·신갈나무·피나무 등의 활엽수림, 신의대·약밤나무·돌가시나무 등의 남방계통 식물이 자라고 있다. 그밖에도 머루·다래 등을 비롯한 산과일과 버섯·약초·산나물 등이 풍부하다. 또한 멧돼지·노루·족제비·너구리 등이 서식하고 있어, 1976년 이 일대가 자연보호구로 지정...
    위치 :
    함경북도 명천군, 화대군, 화성군, 어랑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입추 立秋
    의복을 유의하소 빨래하여 바래이고 풀 먹여 다듬을 제 월하의 방추 소리 소리마다 바쁜 마음 실가의 골몰함이 일변은 재미로다 소채 과실 흔할 적에 저축을 생각하여 박 호박 고지 켜고 외 가지 짜게 절여 겨울에 먹어 보소 귀물이 아니될가 면화밭 자로 살펴 올다래 피었는가 가꾸기도 하려니와 거두기에 달렸느니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비래봉 飛來峰
    소나무류가 울창한 숲을 이룬다. 평안북도에서 산림자원이 가장 풍부한 곳으로 특히 고급 가구의 재료로 쓰이는 들메나무, 음나무, 피나무 등이 많고 머루, 다래, 고비, 고사리 같은 산나물과 버섯류도 풍부하다. 일대는 평안북도의 주요 원목생산지이다. 산꼭대기는 넓고 평평하나 전반적으로 경사가 급해 산세가...
    성격 :
    유형 :
    지명
    면적 :
    높이 1,479m
    소재지 :
    평안북도 벽동군 성남면, 평안북도 벽동군 송서면, 평안북도 창성군 창성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근교농업 近郊農業
    따라서 근교농업지역이 크게 확대되었다. 초기에는 청정재배와 시설재배를 중심으로 무·배추·상추·고추 등 주로 주식용 채소가 생산되었으나, 최근에는 다래·바나나·레몬 등 열대작물을 비롯하여 관상수·화훼 등 재배작물이 다양화되고 있다. 근교농업의 장점은 추운 겨울에도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생산과 다모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대각산 大角山
    남쪽 방향으로 흐른다. 기반암은 화강암·석회암·점판암 등이다. 산정에는 주로 참나무가 밀집한 활엽수림대를 이루고, 그밖에 박달나무·고로쇠나무·소나무 등이 자란다. 더덕·고사리·당귀·천남성·머루·다래 등의 산나물과 약초·산과일이 풍부하다. 이 산은 현재 북한의 대각산동물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쥐다래 Kiwi Vine
    수가 단단하게 꽉 차 있지 않고 주름져 있는 반면 개다래는 꽉 차 있는 것이 다르다(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열매를 식용으로 재배하는 다래와 같은 속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본 분류군의 열매도 식용으로 쓴다. 맛이 달달한 편이며 비타민 씨(vitamin C) 함유량이 높다.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차나무목 > 다래나무과 > 다래나무속
    서식지 :
    산지의 경사 지대, 계곡
    꽃색 :
    흰색
    크기 :
    길이 5m
    학명 :
    Actinidia kolomikta (Maxim. & Rupr.) Maxim.
    분포지역 :
    한국, 중국, 일본, 사할린 등지
    개화기 :
    5월
  • 너구리
    앉은자리에서 8∼10마리를 먹을 정도의 대식가로, 독이 든 먹이도 의심하지 않고 잘 먹는다. 주로 들쥐와 물고기를 잡아먹는데, 개구리나 야생조류의 알이나 다래·머루·도토리와 같은 것들도 잘 먹는 등 다른 어느 개과의 동물보다도 잡식성이 강하다. 또한, 너구리는 개과에 속한 동물 중 겨울잠을 자는 유일한 동물...
    분류 :
    식육목 개과
    성격 :
    동물
    유형 :
    동식물
    크기 :
    몸통길이 52∼66㎝, 꼬리길이 15∼18㎝
    학명 :
    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MORI
    분야 :
    과학/동물
  • 삼각산 三角山
    등이 있다. 북서쪽에 있는 소삼각산(896m)과는 연봉을 이루고 있다. 곳곳에 절벽이 나타나는 등 산세가 험하며, 사방이 급경사이다. 남쪽과 북쪽 사면에서는 각각 송림천과 창성강의 지류가 발원하며, 활엽수림이 울창하다. 머루·다래·고사리·약초 등이 풍부하며 멧돼지가 서식한다. 도내 주요 임업생산지역의 하나이다.
    위치 :
    평안북도 태천군 천계리의 북쪽 동창군 학봉리와의 경계
    높이 :
    936m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6건

다래
다래
다래 종자
다래나무
다래나무
물치다래
다래나무
다래나무
다래나무
다래나무
털다래
다래도
다래도
다래도
다래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