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
-
조상건 자이(子以), 趙尙健의 영향으로 소를 올렸다. 이듬해 지평(持平)으로 복직되었고, 이어 홍문록(弘文錄)에도 선발되었다. 1719년 부수찬(副修撰)에 제수되어서는 단종복위와 김종서(金宗瑞)·황보 인(黃甫仁) 등의 신원(伸寃: 억울함을 풀어버림)에도 앞장섰으나 부교리 김운택(金雲澤)과 패초(牌招: 왕이 패를 내려 신하를 부르던 일)를...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72년(현종13)
- 사망 :
- 1721년(경종 1)
- 경력 :
- 교리, 이조좌랑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풍양(豊壤)
-
이맹전 백순(伯純), 李孟專거쳐 1436년 정언에 임명되고, 얼마 뒤 거창현감이 되었는데, 청렴결백하다는 평판을 받았다.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이 단종을 보좌하는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 대신을 죽이고 정권을 탈취하여 시국이 소란해지자, 이듬해에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선산으로 돌아가서 귀머거리·소경이라 핑계하고는 은둔...
- 시대 :
- 조선
- 출생 :
- 1392년(태조 1)
- 사망 :
- 1480년(성종 11)
- 경력 :
- 승문원정자, 거창현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생육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벽진(碧珍)
-
금성대군 정민(貞愍), 錦城大君李瑈)와 함께 사정전(思政殿)에서 물품을 하사받으면서 좌우에서 보필할 것을 약속하였다. 1453년 수양대군이 정권 탈취의 야심을 가지고 왕의 보필 대신인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하자, 형의 행위를 반대하고 조카를 보호하기로 결심하였다. 1455년 왕의 측근을 제거하려는 수양대군에 의해 몇몇 종친과 함께 무사들...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26년(세종 8)
- 사망 :
- 1457년(세조 3)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全州)
-
편년체 編年體뿐만 아니라, 이전 왕조의 역사 정리도 편년체로 기록된 것이 있다. 권근의 『동국사략』, 정도전의 『고려국사』, 권제 · 남수문 등의 『고려사전문』, 김종서 등의 『고려사절요』, 신숙주 등의 『삼국사절요』, 서거정 등의 『동국통감』 등 관찬(官撰) 사서와, 박상의 『동국사략』, 유희령의 『표제음주동국사략...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고양 송포 백송 高陽 松浦 白松둥근 나무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전체의 모양은 옆에서 볼 때 부챗살처럼 퍼졌기 때문에 역삼각형으로 보인다. 수세(樹勢)는 비교적 왕성한 편이다. 세종 때 김종서(金宗瑞)가 개척한 육진(六鎭)에서 근무하던 장군 최수원(崔秀元)이 고향으로 돌아오는 길에 가져다가 심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래서 이 지역사람들...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식물
-
해동야언 海東野言잡기(筆苑雜記)』, 성현(成俔)의 『용재총화(慵齋叢話)』등 수십종인데, 특히 이염(李爓)의 『유편서정록(類編西征錄)』을 통하여 세종조에 최윤덕(崔閏德)·김종서(金宗瑞) 등이 서부지역을 개척하는 과정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연대순에 따라 많은 사람들을 인용, 정리하여 후세 사람들에 의하여 많이 인용되었는데...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허봉(許篈)
- 성격 :
- 야사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