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서양민들레 약포공영, dandelion피고 열매는 6월에 익는다. 환경 조건이 나빠지면 꽃가루받이 없이 단위생식으로 씨를 만든다. 이용 어린잎은 식용, 뿌리는 약용한다. 해설 우리나라의 민들레속(Taraxacum) 식물들에 비해서 도시에서 흔하게 볼 수 있으며, 꽃이 필 때 총포의 바깥쪽 조각이 뒤로 젖혀지므로 구분된다.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는 서양...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민들레속
- 서식지 :
- 길가, 들판
- 학명 :
- Taraxacum officinale F. H. Wigg.
- 국내분포 :
- 전국
- 해외분포 :
- 북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
민들레 금잠초, Dandelion재배특성 연화재배로 베어낸 후에 다시 싹이 나오므로 봄에 다시 상품화 할 수 있어 1년에 적어도 3회의 수확이 가능하다. 용도 • 어린 잎을 나물로 한다. • 민들레 및 同屬 近緣植物(동속 근연식물)根(근)이 달린 全草(전초)를 蒲公英(포공영)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과 여름에 꽃이 피기 전이나 후에 뿌리째 뽑아...
- 분류 :
- 초롱꽃목 > 국화과 > 민들레속
- 꽃색 :
- 노란색
- 학명 :
-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 개화기 :
- 4월, 5월
-
민들레 금잠초, Taraxacum mongolicum바람이 불면 쉽게 날려 간다. 이른봄에 어린잎과 줄기를 캐서 나물로 먹는다. 식물 전체를 캐서 말린 포공영(蒲公英)은 한방에서 소화를 돕는 데 쓰지만, 민들레만을 쓰는 것보다는 다른 약재와 함께 쓰는 것이 효과가 좋다고 한다. 또 위궤양에는 민들레의 새로 난 잎을 씹어먹기도 하며, 뱀에 물렸을 때 뿌리를 다져서...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초롱꽃목 > 국화과 > 민들레속
- 원산지 :
- 아시아 (중국,일본,대한민국)
- 서식지 :
- 배수가 잘 되고 해가 잘 드는 곳이 좋으며 비옥한 땅
- 크기 :
- 약 30cm
- 학명 :
-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 꽃말 :
- 사랑의 신, 무분별
-
민들레 금잠초, dandelion뿔 같은 작은 돌기가 있고, 안쪽 조각은 선상 피침형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긴 타원형, 갈색, 우산털이 있다. 도시에서는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인 서양민들레에 밀려서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식용으로 쓰이고, 약효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뿌리에서 나와 옆으로 퍼지며, 길이 20...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민들레속
- 서식지 :
- 햇볕이 잘 드는 들판, 길가, 목장 지대.
- 학명 :
-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 국내분포 :
- 전국
-
민들레베헨산(behenic acid)과 같은 지방산과 이눌린(inulin)이 들어 있고 타락세롤(taraxerol)·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카페산(caffeic acid)이 있다. 민들레는 겨울에 줄기는 죽지만 이듬해 다시 살아나는 강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는 것이 마치 밟아도 다시 꿋꿋하게 일어나는 백성과 같다고 하여 민초(民草)로...
- 분류 :
- 국화과
- 성격 :
- 식물, 초본식물
- 유형 :
- 동식물
- 학명 :
-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
- 분야 :
- 과학/식물
- 개화기 :
- 봄
-
좀민들레화단의 전면에 식재하여 감상할 수 있다. 초물분재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낮은 분재화분에 심어 초물분재로 감상한다. • 어린순을 식용으로 이용한다. • 민들레 및 同屬 近緣植物(동속 근연식물)根(근)이 달린 全草(전초)를 蒲公英(포공영)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과 여름에 꽃이 피기 전이나 후에 뿌리째 뽑아 흙을...
- 분류 :
- 초롱꽃목 > 국화과 > 민들레속
- 꽃색 :
- 노란색
- 학명 :
- Taraxacum hallaisanense Nakai
- 개화기 :
- 5월, 6월
-
서양민들레 dandelion, <일>セイヨウタンポポ잘되는편은 아니므로 재료의 양을 늘리거나 계속 같은 과정을 반복해서 염색하는 것이 좋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이 좋아서 다양한 색을 얻을 수 있다. • 민들레 및 同屬 近緣植物(동속 근연식물)根(근)이 달린 全草(전초)를 蒲公英(포공영)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과 여름에 꽃이 피기 전이나 후에 뿌리째 뽑아 흙을...
- 분류 :
- 초롱꽃목 > 국화과 > 민들레속
- 꽃색 :
- 노란색, 녹색
- 학명 :
- Taraxacum officinale Weber
- 개화기 :
- 9월, 8월, 7월, 6월, 3월, 4월, 5월
-
흰민들레 황화랑(黃花郞)특징 및 사용 방법 육질의 굵은 뿌리가 깊이 수직으로 뻗으며 자라는데 검은 갈색이 난다. 원줄기는 없다. 자르면 전체에서 백색의 유액이 나온다. 민들레와 비슷하지만 꽃이 희고 서는 잎이 많으며 잎이 연한 녹색을 띠므로 구별된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과 뿌리를 나물로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 학명 :
- Taraxacum coreanum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양지바른 길가나 들
- 번식 :
- 실생·분근
- 약효 부위 :
- 뿌리·온포기
- 생약명 :
- 포공영(浦公英)
- 키 :
- 30cm 정도
- 과 :
- 국화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여름 개화기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달고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10~15g
- 주의사항 :
- 장복해도 무방하다.
- 동속약초 :
- 민들레·산민들레·서양민들레의 뿌리·온포기
-
-
산민들레 Montane dandelion관모는 길이 7-8mm로서 회갈색이다. 줄기 원줄기가 없다. 생육환경 • 산지의 약간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용도 • 어린 잎을 나물로 한다. • 민들레 및 同屬 近緣植物(동속 근연식물)根(근)이 달린 全草(전초)를 蒲公英(포공영)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과 여름에 꽃이 피기 전이나 후에 뿌리째 뽑아 흙을 털고...
- 분류 :
- 초롱꽃목 > 국화과 > 민들레속
- 꽃색 :
- 노란색
- 학명 :
- Taraxacum ohwianum Kitam.
- 개화기 :
- 5월, 6월
-
산민들레 지정(地丁), 山민들레잿빛을 띤 갈색이다. 특징 및 사용 방법 포기 전체에 백색의 유즙이 있다. 뿌리는 깊이 뻗고 원줄기는 없으며 꽃대는 여러 개 나오지 않는다. 꽃의 모양은 민들레와 같으나 전체적으로 작고 연약하게 생겼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 학명 :
- Taraxacum ohwianum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지의 습한 곳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뿌리·온포기
- 생약명 :
- 포공영(浦公英)
- 키 :
- 10~35cm
- 과 :
- 국화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봄~여름(개화기)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달고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10~15g
- 주의사항 :
- 오래 써도 무방하다.
- 동속약초 :
- 민들레·흰민들레의 뿌리와 온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