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우리나라 토기류 가운데 가장 앞선 신석기시대 초기에 제작되었으며 그릇 바깥 면에 무늬가 없고 두께가 비교적 두툼한 토기.
그릇 바깥 면에 무늬가 거의 없다는 점 때문에 원시무문토기(原始無文土器)라고도 부른다. 그릇의 두께가 비교적 두툼한 편인데, 이런 점에서 무문후육토기(無文厚肉土器) 또는 후육무문토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강석, 운모, 석영 따위가 섞여 있는 토기 재료를 사용해 표면이 거칠다. 다갈색, 회색, 매흑색(煤黑色, 그을린 흑색) 등과 같은 색깔을 띠며, 밑바닥이 평평한 것도 있고 뾰족한 것도 있다. 밥그릇이나 단지 등으로 쓰였을 것으로 보이는, 다양한 크기의 이른민무늬토기가 있다. 우리나라 토기류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토기이다. 부산시 영도구의 동삼동(東三洞) 유적, 함경북도 선봉군(옛 웅기군)의 굴포리(屈浦里) 유적 등지에서 발견된 바 있다. 신석기시대를 대표하는 토기인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Jeulmun pottery)보다 시기적으로 앞선, 신석기시대 초기에 나타난다. 또한 청동기시대의 무늬 없는 토기인 민무늬토기(無文土器, Mumun pottery)와 구별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석기시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