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고려시대의 사람의 신분을 나누는 제도.
고려는 엄격한 신분제사회였다. 신분은 크게 양인과 천인으로 구분되었다. 양인에는 관직을 가진 양반관료와 향리·서리·기술관·군인 등의 하급관리, 그리고 일반민이 속했고, 천인에는 노비와 화척(禾尺) 등이 속했다. 양반관료의 일부는 고위의 관직을 대대로 차지하여 문벌귀족으로 되었으며, 이들이 실제로 정치권력을 장악했다. 하급관리와 서리·향리는 행정 실무를 담당했으며, 지배층의 일부를 이루었다. 양인의 대부분은 농업 중심의 생산활동에 종사했으며, 국가에 조세·공물·역역(力役)을 납부할 의무가 있었다. 천인의 주류는 노비였다. 이들은 매매와 상속의 대상이 되는 비인격적 존재였으며, 전 인구의 상당 비율이 노비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신분은 세습되었으며, 특히 양인과 천인의 구분은 엄격하여 천인이 양인으로 되는 것을 철저하게 금지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