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

다른 표기 언어

요약 고려 건국 초기 태봉의 관제를 이어받았은 후 성종 때 확립한 3성 6부 체제.

건국 당시 중앙 정치 기구는 태봉의 관제를 이어받아 광평성·내봉성·순군부·병부가 중심이었으나, 성종 때 3성 6부의 체제로 정비했다. 최고 정무 기관인 중서문하성은 재신과 낭사로 구성되었고, 그 장관인 문하시중이 수상이 되었다. 상서성은 중서문하성에서 결정한 정책을 집행했으며, 이·호·예·병·형·공의 6부를 거느렸다. 그러나 실제 행정은 6부가 직접 국왕의 명을 받아 시행하는 체제여서 상서성의 기능은 극히 제한되었다. 중추원은 궁중의 숙위와 군기를 담당하는 추신과 왕명 출납을 담당하는 승선으로 구성되었다. 그밖에 전곡의 출납과 회계를 담당한 3사, 시정을 논집하고 백관을 탄핵·규찰하며 서경권을 가진 어사대, 시정을 기록하는 사관을 비롯한 여러 기관이 있었다. 정치 권력은 왕과 중서문하성, 중추원의 고위 관료인 재추에게 집중되었다. 그러나 낭사와 어사대는 이들을 견제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정치 권력의 균형을 유지했다.

무신정권의 고려시대

1389년의 고려 영토

ⓒ KJS615 /위키피디아 | CC BY-SA 3.0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고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