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전기회로에서 전류조절이나 저항변화를 필요로 할 때 사용하는 저항기.
발전기의 특성이나 전구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모터의 속도를 내거나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의 저항소자는 응용목적에 따라 금속선, 금속 리본, 탄소, 전도성 액체 등이 가능하다. 보통 전류에는 금속형태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아주 낮은 전류는 탄소형태가 사용되고, 높은 전류라면 전도성 액체 내에 전극이 들어 있는 전해질 형태가 가장 알맞다. 특별한 형태의 가변저항기로는 전위차계가 있다. 전위차계는 모르는 전위차를 이미 알고 있는 전위차에 균형을 맞출 때 가리키는 전압값으로 미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기구이다. 두 고정단자(固定端子)와 변할 수 있는 접촉팔에 연결된 3번째 단자를 갖는 저항기가 더욱 일반적인 형태이다. 이것은 오디오 장치에서의 음량 조절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