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유형 | 하층운 |
---|---|
상징 | Ns |
요약 하층구름의 한 종류로 두터운 검은색으로 하늘 전체를 덮고 비를 뿌리는 구름.자주 어두운 색을 띠는 회색 구름층이다. 대체로 연속적으로 떨어지는 비나 눈에 의해 외관이 흩어진다. 비나 눈은 대부분의 경우 땅으로 떨어진다. 해를 가릴 만큼 두껍고, 층 아래에는 낮은 조각구름들이 자주 발생하여 붙어있거나 떨어져 있다.
2∼7㎞ 고도에서 나타나는 중층운 가운데 가장 하부에 형성되는 구름. 약자는 'Ns'이며 '비층구름'이라고도 부른다. 고도 2~7km에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비구름 또는 먹구름이라고 부르는 검은색의 구름이다. 하늘 전체를 가득 채우고 비와 눈을 오래 내린다. 구름은 상층구름일수록 색이 희고 수증기량이 적으며 하층구름일수록 색이 검고 수증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 두껍다.
난층운은 수증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 밑 부분이 어두운 검은 색이고 금방이라도 쏟아져 내릴 것처럼 무겁게 보인다. 두꺼운 난층운이 하늘을 뒤덮고 있을 때는 태양의 빛이 차단되기 때문에 한 낮에도 밤중처럼 어두워진다. 저기압의 중심부나 전선에 부근에 형성되는 구름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