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혈액투석

다른 표기 언어 hemodialysis , 血液透析

요약 인공 콩팥 따위의 콩팥 기능 대행 장치를 이용한 콩팥 기능 상실증의 치료법.

혈액투석(hemodialysis)

ⓒ Dan/wikipedia | CC BY 2.0

콩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질환을 콩팥 기능 상실증이라고 한다. 콩팥의 기능이 건강한 콩팥에 비해 15% 이하인 콩팥 기능 상실 환자의 경우 인공 콩팥을 이용한 혈액 투석을 한다. 인공 콩팥은 투석의 원리를 이용하는데, 투석이란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는 투석막을 통해 구멍보다 작은 크기의 물질을 확산에 의해 분리하는 방법이다. 혈액 투석으로 혈액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최초의 인공신장이 제2차 세계대전 중에 개발되었지만, 이것은 일시적인 신장기능만 할 수 있을 뿐이었다. 만성신장질환 환자에게 혈액 투석을 되풀이하여 쓸 수 있게 된 것은 1960년에 벨딩 스크라이너가 테플론(열에 강한 수지)으로 만든 영구적인 동정맥단락의 효용성을 증명한 뒤였다. 그때까지만 해도 심한 신장 질환을 앓는 환자는 죽음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지만, 반복적인 혈액 투석이 가능해진 뒤에는 90%의 생존율을 보이게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혈액투석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