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사회적 관계의 일종으로 사회나 집단에서 보이는 통합 또는 통합하고자 하는 권리.
원래는 공동 소유에 기초한 채권-채무 관계를 지칭하기 위해 쓰였던 사법적 개념으로서의 '연대'가 사회적 용어로 재탄생 할 수 있었던 것은 근대적 격변기의 사회해체에 대한 위기감 속에서였다. 에밀 뒤르켐은 그의 저서 〈사회분업론〉(1893)을 통해 '기계적 연대'와 '유기적 연대'란 용어를 도입했다. 뒤르켐에 의하면 낮은 노동 분업 상태에서의 전통적인 문화는 기계적 연대로 특징지을 수 있다. '기계적 연대'의 사회에서는 믿음의 일치와 유사성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산업화와 도시화는 노동 분업의 증가를 가져왔고, 이로 인해 기존의 이러한 연대는 깨지고 말았다. 뒤르켐은 사회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진행되는 직무의 전문화와 사회적 차이의 증가는 유기적 연대라 부를 수 있는 새로운 질서를 가져왔다고 생각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