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국가간의 무역활동과 관련해 보호 대상이 되는 지적 소유권.
특허권이나 상표권 등의 지적 소유권 보호 규정이 국가마다 다를 경우, 보호에 취약한 국가에서 해적판이나 가짜 브랜드 상품이 나돌아도 국제적인 제재나 보호조치를 취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해 무역 관련 지적 소유권이 다자간 무역협상의 새로운 교섭 대상이 되었다. 이에 따라 선진국 기업들은 거액의 연구비를 투자해 개발한 기술에 대해 특허권료 등의 형식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합의 내용은 최혜국대우·내국민대우 원칙과 권리 침해의 경우 정신적 보상 처리 기준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실시하기 위한 법률의 정비 등을 회원국의 의무로 규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작권 보호의 대상으로 규정해 문학 작품과 마찬가지로 보호 기간을 최저 50년으로 정했다. 또한 개별 기업의 고객 리스트와 제품을 만드는 방법도 기업 비밀로 보호하는 등 지적 소유권에 대한 국제적 보호와 침해에 대한 구제수단을 강화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경제
경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무역 관련 지적 소유권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