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메리칸 뷰티

다른 표기 언어 American Beauty

요약 브루스 코언, 댄 징크스가 공동제작한 1999년 아카데미상 작품상 수상 작품.

감독은 샘 멘데스, 각본은 앨런 볼이 맡았다. 〈아메리칸 뷰티〉는 20세기말 미국 중산층 중년의 일반적 병과 불안을 포착한, 시대 정신을 담은 영화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영화가 흥행과 비평 양쪽에서 성공을 거둔 것에는 앨런 볼의 치밀한 각본을 무시할 수 없는데, 이 각본은 쓰여지는 과정에서부터 드림웍스픽처스의 책임자인 스티븐 스필버그가 아끼는 프로젝트가 되었다.

볼과 감독인 샘 멘데스는 교외 문화에 대한 어둡고 재미 있는 풍자를 만들어냄으로써 전형적인 미국 가족(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버넘 가족)에게 날카로운 일격을 날린다. 이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비록 약점은 있지만 호감이 가는 주인공 레스터 버넘(케빈 스페이시)이 죽게 되는데, 그럼에도 마치 마법이 일어난 것처럼 관객은 좋은 기분으로 극장을 떠나게 된다. 위기에 처한 교외 문화에 대한 또 하나의 우수작으로 평가받은 폴 토머스 앤더슨의 〈매그놀리아 Magnolia〉와는 달리 〈아메리칸 뷰티〉의 용서와 구원의 메시지는 좀더 직접적이고 받아들이기도 쉽다.

이 영화는 아카데미상 8개 부문에 후보로 올라 5개 부문에서 상을 받았다. 작품상 외에 남우주연상 케빈 스페이시(수상), 여우주연상 아네트 베닝, 감독상 샘 멘데스(수상), 촬영상 콘래드 L. 홀(수상), 각본상 앨런 볼(수상), 편집상 타리크 안와르, 작곡상 토머스 뉴먼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경쟁 후보작은 〈사이더 하우스 The Cider House Rules〉(리처드 N. 글래드스타인 제작), 〈그린 마일 The Green Mile〉(데이비드 발데스, 프랭크 대러본트 제작), 〈인사이더 The Insider〉(마이클 맨, 피테르 얀 브뤼게 제작), 〈식스 센스 The Sixth Sense〉(프랭크 마셜, 캐슬린 케네디, 배리 멘들 제작) 등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영화

영화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아메리칸 뷰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