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흑기러기

다른 표기 언어 brant
요약 테이블
분류 척추동물 > 조강 > 기러기목 > 오리과
원산지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서식지 해안. 강하구
먹이 해조류, 조개류 등
크기 약 58cm ~ 66cm
무게 약 1.3kg ~ 1.5kg
학명 Branta bernicla
식성 잡식
임신기간 약 24~26일
멸종위기등급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

요약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대형의 흔치 않은 겨울새.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해안, 강하구에 서식하고, 식성은 잡식으로 해조류, 조개류 등을 먹는다. 크기는 58~66cm, 무게는 1.3~1.5kg 정도이다. 포란기간은 24~26일 정도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국가적색목록 취약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흑기러기

ⓒ WIKIMEDIA COMMONS (Arpingstone) | public domain

정의

조강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Branta bernicla’이다. 원산지는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이고, 서식지는 해안, 강하구이다. 식성은 잡식으로 해조류, 조개류 등을 먹는다. 크기는 약 58~66cm, 무게는 약 1.3~1.5kg이다. 포란기간은 약 24~26일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국가적색목록 취약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형태

몸길이는 58~66cm 정도이며, 청둥오리보다 다소 큰 기러기류로 물에 떠 있을 때는 목의 흰색 띠를 제외한 몸전체가 검은색으로 보인다. 날 때는 머리·목·가슴·등·날개·꼬리 등은 검은색으로 보이고, 배·옆가슴·아래꼬리 등은 흰색으로 보인다.

생태

연속적이고 부드러운 소리로 '럭, 럭'하고 운다. 전형적인 해양성 조류로 툰드라의 해안지역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해안이나 강하구에 서식한다. 물가에 둥지를 틀며, 담황색 또는 크림색의 알을 4~5개 낳는다.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의 북극권에 분포한다. 한국의 남해안 연안에 해마다 규칙적으로 도래하는 흔하지 않은 겨울새로, 이동시에는 동서해안에서도 관찰된다. 종 자체를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거위|흑기러기
다른 백과사전

오리과

추천항목


[Daum백과] 흑기러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