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훈고학

다른 표기 언어 訓詁學

요약 훈'이란 경전의 자구가 뜻하는 바를 풀이하는 것이며, '고'란 고금의 문자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훈고학이 학문으로 발전한 것은 한나라 때이다. 문제·경제 때 오경박사와 관학제도의 설치를 통해 흩어진 경전을 보완하고 일부만 남아 있는 경전을 재구성했으며, 자의의 훈고에 힘썼다. <시경>·<서경> 등의 경전과 노장을 비롯한 제자백가의 문헌이 훈고되었고, 후한 때에는 <춘추>·<효경>·<논어>·<의례>·<주역> 등에 대한 주석이 이루어졌다. 훈고학의 흐름은 당나라 때 공영달이 <오경정의>를 편집함으로써 일단락되었다. 훈고학은 송·원·명에 성리학·양명학이 유행하면서 쇠퇴했다가 청대에 다시 중요시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조선 후기 정조 때 청나라의 훈고학이 들어왔으나 크게 유행하지는 못했다.

넓게는 〈십삼경주소 十三經注疏〉로 대표되는 한당의 훈고학을 가리키며, 좁게는 한자의 음운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한다. 훈이란 경전의 자구가 뜻하는 바를 풀이하는 것이며, 고란 고금의 문자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훈고의 방법론이 학문으로 발전한 것은 한(漢)나라 때이다.

진(秦)나라의 분서갱유를 거쳐 중국이 한나라로 재통일되기까지의 혼란기를 거치면서 한자가 크게 변화되었기 때문에, 전국을 지배하기 위해서는 여러 경전과 문자를 정비할 필요가 있었다. 문제(文帝)·경제(景帝) 때 오경박사(五經博士)와 관학제도의 설치를 통해 흩어진 경전을 보완하고 일부분씩 남아 있는 경전을 재구성했으며, 자의의 훈고에 힘썼다.

〈시경 詩經〉·〈서경 書經〉·〈예기 禮記〉 등의 경전과 노장을 비롯한 제자백가의 문헌이 훈고되었고, 후한 때에는 마융(馬融)·정현(鄭玄)·가규(賈逵) 등의 학자들에 의해 〈춘추 春秋〉·〈효경〉·〈논어 論語〉·〈의례 儀禮〉·〈주례 周禮〉·〈열녀전 烈女傳〉·〈주역 周易〉 등에 대한 주석이 이루어졌다. 한자의 음운에 대해서는 허신(許愼)이 〈설문해자 說文解字〉를 저술했다.

이와 같은 훈고학의 흐름은 삼국(三國)·육조(六朝)를 거쳐 당(唐)나라 때 공영달(孔潁達)이 〈오경정의 五經正義〉를 편집함으로써 일단락되었다. 훈고학은 송(宋)·원(元)·명에 성리학·양명학이 유행하면서 쇠퇴했다가 청대(淸代)에 이르러 고증학이 발흥하면서 그 방법론이 다시 중요시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조선 후기 정조 때에 청나라의 훈고학이 들어왔으나 크게 유행하지는 못했고, 다만 정약용(丁若鏞)과 신작(申綽) 등이 훈고학의 방법론을 이용하여 중국의 고대 경전을 연구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동양철학

동양철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훈고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