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396(태조 5) |
---|---|
사망 | 1486(성종 17) |
국적 | 조선, 한국 |
요약
1407년(태종 7) 효령군에 봉해졌으며, 1412년 효령대군으로 진봉되었다. 활쏘기에 능해 항상 태종을 따라 사냥터에 다녔으며 효성이 지극했다고 한다. 불교를 숭상하여 회암사의 중수와 흥천사탑전의 수리, 원각법회 개최 등 많은 불사를 주관했다.
<반야바라밀다심경>, <원각경>, <금강경>, <법화경> 등의 불경의 번역과 간행에 힘썼다. 조선의 숭유억불정책으로 인해 유신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았지만 불교의 보호와 진흥에 크게 기여했으며 문장에도 능했다. 성종대까지 왕실 어른으로 극진한 대우를 받았다. 1865년(고종 2) 양녕대군과 함께 세종묘에 추가 배향되었다.
이름은 보, 초명은 호. 자는 선숙, 호는 연강. 어머니는 원경왕후 민씨이다. 1407년(태종 7) 효령군(孝寧君)에 봉해졌으며, 1412년 효령대군으로 진봉되었다. 활쏘기에 능해 항상 태종을 따라 사냥터에 다녔으며 효성이 지극했다고 한다.
불교를 숭상하여 회암사의 중수와 흥천사탑전의 수리, 원각법회 개최 등 많은 불사를 주관했다.
또한 〈반야바라밀다심경 般若波羅蜜多心經〉·〈원각경〉 등도 언해·간행했다. 유신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았지만 불교의 보호와 진흥에 크게 기여했으며 문장에도 능했다. 성종대까지 왕실 어른으로 극진한 대우를 받았다. 1865년(고종 2) 양녕대군과 함께 세종묘에 추가 배향되었다. 묘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에 있다. 시호는 정효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