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황로학파

다른 표기 언어 Huanglao school , 黃老學派

요약 중국 한나라 때 법가와 도가 사상의 융합을 도모한 정치사상가 집단.
(병). Huanglao school. (웨). Huanglao school.

진(秦)나라가 멸망하고 한나라가 중국을 통일했을 때 진의 억압적인 통치방법을 대신할 새로운 정치사상이 요구되었다. 이때 법가와 도가의 사상을 융합한 황로학이 등장했고, 당시 경제(景帝)의 어머니 두태후(竇太后)가 황로를 후원하여 한 시대를 풍미했다.

황로는 황제(黃帝)와 노자(老子)를 가리킨다. 황제는 중국 최고의 제왕으로 법칙의 발견자, 법률의 제정자로서 법가사상을 상징하며, 노자는 도가의 시조로서 허심(虛心)과 무위의 심술로 세상에 대처함을 특징으로 한다.

하상장인(河上丈人)·안기생(安期生)·모흡공(毛翕公)·악하공(樂瑕公)·악신공(樂臣公)·개공(蓋公) 등이 그 중심 인물이다. 이들의 사상은 〈관자 管子〉·〈경법 經法〉·〈십대경 十大經〉·〈칭 稱〉·〈도원 道原〉·〈갈관자 躇冠子〉등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들은 내면적 도덕인 도에서 법이 생겨나며 도는 법을 초월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사상에 따라 정사를 펴나갔던 인물은 한나라 초기의 조참(曹參)·급암(汲黯)·전숙(田叔) 등이다. 황로학파는 두태후가 죽은 이후 쇠퇴하기 시작하여 무제(武帝) 때 세력을 잃었다.

후한말에 이르러 황로학파는 단순한 도가의 일파로 변모하고 그 사상의 내용도 변질되어 노자에게 가탁한 '신선설'(神仙說)을 가리키게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동양철학

동양철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황로학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