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태어나서 60년 만에 맞는 생일.
회갑(回甲)·화갑(華甲)·주갑(周甲)이라고도 한다. 회갑의 화는 파자하면 육십일(六十一)이 된다. 환갑은 태어난 간지의 해가 다시 돌아왔음을 말한다. 유래는 〈고려사〉에 의하면 고려말로 추정된다.
환갑날 아침 일찍 환갑을 맞는 사람은 사당에 들어가 조상의 신위에 환갑을 맞은 것을 고한다. 환갑상은 성대하게 차리는데, 하객들이 볼 수 있는 앞쪽에 여러 음식을 진설하고 여유 있는 집은 교자상 2개를 쓰기도 한다. 상 앞에 환갑 맞는 사람이 앉으면 맏아들, 둘째 아들, 맏딸, 둘째 딸의 순으로 부부가 나란히 서서 잔을 올리고 남자는 재배(再拜), 여자는 4배하여 헌수(獻壽)한다. 오늘날은 다같이 재배하거나 1배한다. 그다음은 차례로 잔을 올리는데 어머니의 환갑이라도 아버지에게 먼저 잔을 올린다. 부모 중에 한 분만 살아 있다면 1잔만 올린다.
악공과 기생을 불러 풍악을 하고 권주가(勸酒歌)를 부르는 등 매우 성대하게 치렀다. 손님들은 기념이 될 만한 물건들을 선물하며, 형편이 좋지 않은 사람들은 일을 도와주는 것으로 부조한다. 환갑잔치는 수연(壽宴)이라고도 하는데 환갑을 며칠 앞두고 수연시(壽宴詩)의 운자를 내서 친척이나 친지에게 시를 짓게 하여 잔칫날 이를 발표하면서 흥을 돋우었으며, 이 시를 모아 수연수첩을 만들어 자손에게 전하기도 했다.
환갑을 맞는 사람이 병중이거나 그해의 운이 불길하면 환갑을 차리지 않기도 하며 때로는 날을 가려서 앞당기기도 한다. 평균수명이 높아진 오늘날에는 차츰 환갑의 의미가 축소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