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한국 신무용의 하나.
화관을 쓰고 긴 색한삼을 공중에 뿌리며 흥겹게 추는 춤이다. 1954년 11월 26부터 28일까지 서울 시공관에서 열린 김백봉무용발표회에서 처음 발표되었다. 궁중정재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지만 복식만 궁중정재와 비슷할 뿐 연출방법은 전혀 다르다. 몽두리와 비슷한 형태의 오색구슬로 장식한 화려한 화관을 쓰고 추기 때문에 화관무라는 이름을 붙인 듯하다.
1959년 5월 김백봉의 원각사 공연에서 '한삼에의 회정'이라는 제목으로, 1970년 5월 오사카[大阪] 엑스포70 공연에서는 '수연'이라는 제목으로 공연되었다. 한삼의 길이는 궁중정재에서 쓰는 한삼보다 길게 만들어서 그 안에 막대기를 넣어 양손에 잡고 한삼을 뿌리며 추는데, 공중에 날리는 한삼의 아름다운 선을 표현했다. 반주음악으로는 영산회상 가운데 세영산·도들이가 쓰였다. 국가적인 행사, 매스 게임, 외국 공연 등에서 주로 공연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한국무용
한국무용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