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관원이 관복을 입었을 때 손에 지니는 수판.
처음에는 왕의 교명이나 자신의 계사를 그 위에 적어 비망으로 삼기 위해 쓰였으나 후세에는 단지 의례적인 도구가 되었다. 왕은 옥으로 만든 홀, 즉 규를 잡고 대부나 사는 홀을 들었다. 신라가 당제의 관복을 입은 뒤로부터 한말에 이르기까지 쓰였다. 길이 약 60㎝, 너비 약 6㎝의 장판이다. 조선시대에는 조복·제복·공복 차림에 1~4품관은 상아로 만든 상아홀, 5~9품관은 괴목으로 만든 목홀, 향리는 공복에만 목홀을 갖추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의류
의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