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호랑나비

다른 표기 언어 swallowtail butterfly
요약 테이블
분류 절지동물 > 곤충강 > 나비목 > 호랑나비과 > 호랑나비속
원산지 아시아 (대한민국,일본,중국,미얀마), 유럽 (러시아)
서식지 공원, 들, 밭
먹이 운향과 식물
크기 약 2cm ~ 3cm
학명 Papilio xuthus
천적 사마귀, 거미

요약 나비목 호랑나비과 호랑나비아과에 속하는 나비들. 호랑나비는 북극지방을 제외한 세계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한국 전역에도 분포하며 개체 수가 많다. 크기는 약 2~3cm이다. 색상은 다양한데 많은 종이 무지갯빛 검은색, 푸른색 또는 녹색 바탕에 노란색이나 주황·붉은색·녹색·청색 무늬를 갖고 있다. 어떤 유충의 가슴에는 검정과 노랑의 눈 모양 무늬가 있어 뱀의 머리와 비슷하다. 성충의 천적은 사마귀와 거미이다.

호랑나비

ⓒ 타이거 | cc-by-nc-nd

개요

나비목 호랑나비과 호랑나비아과에 속하는 나비들. 학명은 Papilio xuthus이다. 속명의 'Papilio'는 라틴어로 ‘나비’라는 뜻이다. 한반도에는 8종이 알려져 있다.

형태

색상은 다양한데 많은 종이 무지갯빛 검은색, 푸른색 또는 녹색 바탕에 노란색이나 주황·붉은색·녹색·청색 무늬를 갖고 있다. 또한 색상은 성과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밝은 색의 유충은 잎을 먹는다. 어떤 유충의 가슴에는 검정과 노랑의 눈 모양 무늬가 있어 뱀의 머리와 비슷하다. 많은 종이 향샘(香腺)을 갖고 있어, 방해를 받으면 악취가 나는 물질을 방출한다.

생태

많은 호랑나비가 맛이 없어 포식자로부터 보호되는 나비들의 색상과 무늬를 흉내 내어 환경에 적응한다. 호랑나비의 애벌레는 새똥을 흉내내고, 귤나무, 산초나무, 탱자나무, 황벽나무를 먹고 자란다.

호랑나비의 천적으로는 호랑나비 애벌레에 기생하여 번식하는 기생벌인 배추벌레금좀벌과 맵시벌이 있다. 기생벌은 호랑나비 애벌레의 몸속에 알을 낳는데, 숙주가 번데기가 되면 어른벌레가 되어 번데기에 구멍을 내고 빠져나온다. 성충의 천적으로는 거미와 사마귀가 있다. 거미는 호랑나비가 거미줄에 걸리면 소화액을 주입하여 체액을 빨아먹으며, 사마귀는 나비가 모이는 꽃에서 기다렸다가 사냥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23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호랑나비
다른 백과사전

나비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호랑나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