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호금

다른 표기 언어 hu-ch'in , 胡琴

요약 중국의 현악기.
(병). Huqin. (웨). Huch'in.

원래는 몽골의 악기였는데 10세기경 중국에 도입되었다.

금통은 원형 또는 6각형이며, 나무·대나무 또는 야자껍질로 만든다. 금통의 면은 뱀가죽으로 씌우거나 오동나무 판을 붙인다. 금통 위에는 금대를 연결하며, 금대 위쪽 끝에 2개 또는 4개의 줄감개가 달려 있다. 금통 아랫부분부터 줄감개까지 긴 현이 연결되어 있으며, 연주할 때는 왼손으로 현을 누르고 오른손으로 활을 당겨 말총을 현에 마찰시켜 소리를 낸다. 일반적으로 5도 차이로 조율한다(예컨대 도-솔, 라-미). 현의 긴장도(느슨함과 조임의 정도)에 따라 음높이가 정해진다.

호금은 중국 희곡 공연에서 널리 사용되며,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경극에 사용되는 호금은 금통과 금대를 모두 대나무로 만들고 뱀가죽을 씌우는데, 소리가 맑고 힘차다. 방자희의 주요 연주 악기인 '판호'는 금통 면에 오동나무 판을 붙였으며, 소리가 높고 낭랑하다. 또다른 종류 '호호'는 야자껍질로 금통을 만든 커다란 판호인데, 중후하고 나직한 소리가 난다. 산둥[山東] 지방극의 반주 악기로 사용되는 '사호'는 4줄의 긴현이 걸려 있다. 타이완[臺灣]의 전통극인 가자희에 사용되는 '대광현'은 용설란 나무로 만들었으며, 섬 특유의 풍격이 배어나오는 음색을 낸다.

그밖에도 낮은 음색을 내는 '이호'·'중호'·'뇌호'·'추호' 등이 있는데, 만든 재료가 다르기 때문에 소리도 각각 특색이 있다. 활로 연주하는 호금과 유사한 현악기들이 동남아시아와 한국, 그리고 간혹 일본에서 발견된다. → 해금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현악기

현악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호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