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피터 헤일

다른 표기 언어 헤일 , Pieter Geyl
요약 테이블
출생 1887. 12. 15, 네덜란드 도르트
사망 1966. 12. 31, 위트레흐트
국적 네덜란드

요약 네덜란드의 역사학자.

헤일(Pieter Geyl)

ⓒ Jo Tolleeek: De toga van Fruin. Website DBN/wikipedia | Public Domain

네덜란드에 관한 그의 저서들은 풍부한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예리한 분석과 비판을 담고 있어 학문적으로도 높이 평가받는다. 헤일은 레이덴대학교에 들어간 뒤 역사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이 대학에 다니던 마지막 해(1911)에는 플랑드르 민족운동에 관여했다. 1931년에 박사학위를 받은 뒤 네덜란드 일간지 〈니웨 로테르담세 코우란트 Nieuwe Rotterdamse Courant〉의 런던 특파원으로 일했다.

1919년 런던대학교의 네덜란드 역사 및 제도 분야의 교수가 되었고 1935년 위트레흐트대학교 역사학교수가 되었다. 1940년 10월 나치에게 체포되어 1941년까지 부헨발트에 있다가 다시 네덜란드로 옮겨져 억류되었다. 1944년 석방되었고 1945년 네덜란드가 해방된 뒤 다시 교단에 섰다.

그의 첫번째 저서(1913)는 17세기초 헤이그에 살았던 베네치아인 크리스토포로 수리이노에 관한 것이었다. 그 다음 저서인 〈1748년까지의 빌렘 4세와 영국 Willem Ⅳ en England tot 1748〉(1924)은 오라녜당(黨)과 공화주의적인 국가당 사이의 갈등 및 그것이 네덜란드 공화국의 대외정책에 미친 영향을 연구한 것인데, 이 주제는 뒤에 나온 저서들에서도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1925년에 나온 논문집 〈대(大)네덜란드 사상 De Nederlandsche gedachte〉(1930년에 제2권 추가 발간)은 네덜란드와 플랑드르 역사의 통일성을 다루고 있으며 대체로 민족국가의 발전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의 최고의 업적이라 할 수 있는 〈네덜란드 민족사 Geschiedenis van de Nederlandse stam〉(1930~37)는 6권짜리로, 초기부터 1798년까지의 네덜란드 역사를 다룬 것이다. 오라녜 왕가와 대중 간의 분열을 주제로 한 또다른 저서 〈암스테르담 혁명 1748년 8~9월 Revolutiedagen te Amsterdam, Augustus-September 1748〉은 1936년에 나왔으며, 가장 뛰어난 논문으로 평가되는 〈1641~1672년의 오라녜와 국가, Oranje en Stuart, 1641~1672〉(1939)에서는 오라녜와 국가이익 간의 갈등을 설명·분석·평가했다.

1947년에 헤일은 영국의 역사학자인 아널드 토인비와 길고도 치열한 논쟁을 시작했는데, 그는 토인비의 저서가 작위적이며 경험에 바탕을 두지 않고 신학적 가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비판했다. 1950년대에는 영어로 된 〈역사학자들과의 논쟁 Debates with Historians〉(1955)·〈역사의 이용의 남용 Use and Abuse of History〉(1955)·〈역사상의 해후 Encounters in History〉(1961) 등과 같은 평론을 계속 썼다. 헤일의 저서들은 헌법상의 문제와 대비시켜 대외정책을 다루고 있으며, 네덜란드 종교분열의 배경이 되는 지리적·군사적 요인들을 면밀히 분석했고, 역사연구의 세밀한 기준을 설정한 것이 특징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학자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피터 헤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