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험프리

다른 표기 언어 Hubert H(oratio) Humphrey
요약 테이블
출생 1911. 5. 27, 미국 사우스다코타 월리스
사망 1978. 1. 13, 미네소타 웨이벌리
국적 미국

요약 미국의 정치가.

미국의 제38대 부통령(1965~69)을 지냈으며, 1968년 대통령후보로도 지정된 자유주의적인 상원지도자(1949~65, 1971~78)였다. 인민주의 운동을 연상시키는 민주주의자·농민·노동자의 연합세력을 정치기반으로 삼았다.

약제사였던 험프리는 교사, 라디오 뉴스 해설자, 연방 행정관, 육군 교관 등 다양한 직업을 전전하다가 1944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을 위한 미네소타 주 선거운동 책임자가 되었다. 이 시기에 그는 미네소타 주의 민주당과 농민노동당을 통합하는 데 힘썼다.

험프리의 공직생활은 미니애폴리스 시장으로 선출된 1945년에 시작되었다. 3년 뒤 그는 연방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어 그후 16년 동안 상원에서 일했다. 1961년부터 그는 상원 다수당의 부총무가 되었다. 상원의원으로서 그는 노련하고 솔직한 토론자, 법안을 많이 제출하는 의원, 능숙한 의회지도자라는 평판을 얻었다. 그는 특히 핵실험금지조약(1963)과 민권법(1964)에 대해 두 당의 지지를 얻어내어 갈채를 받았다.

험프리가 L.B. 존슨 대통령 정부에서 부통령이 된 뒤, 입심 좋고 이따금 충돌을 일으키는 '공상적 사회 개량가'라는 초기의 평판은 좀더 보수적인 인상으로 바뀌었다. 특히 미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을 지지한 뒤로는 이런 인상이 더욱 강해졌다. 부통령으로서 그는 미국 평화봉사단 자문위원회 위원장, 빈곤추방계획 추진 책임자, 민권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1968년 존슨 대통령이 실제 정치에서 손을 뗀 뒤, 험프리는 민주당 대통령후보가 되었다. 그러나 베트남 전쟁을 둘러싸고 민주당이 분열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는 리처드 M. 닉슨 공화당 후보에게 아깝게 패하고 말았다.

그는 세인트폴의 매컬레스터대학과 미니애폴리스의 미네소타대학교에서 강의를 하는 한편, 엔사이클로피디아브리태니커사의 교육사업에 2년 동안 관계함으로써 교육에 대한 관심을 계속 유지했다. 그는 1970년 미네소타 주에서 민주농민노동당 후보로 다시 상원의원에 당선되었다. 1972년 그는 민주당 대통령후보 지명대회에서 패배했지만, 상원에 남아서 선배 정치가 및 민주당 원로 역할뿐 아니라 적극적인 입법활동도 계속했다. 그는 상원 안팎에서 상원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로 평가받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험프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