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허톈 융단

다른 표기 언어 Khotan rug , 和闐絨緞

요약 중국 신장웨이우얼 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 남부의 고대 도시 허톈 및 그 주변에서 손으로 짠 바닥깔개.

한때는 중앙 아시아의 교역 중심지 사마르칸트의 이름을 따서 사마르칸트 융단이라고 불렸다.

중앙 아시아의 도안과 서양의 선명한 색깔을 겸비했으며, 세부적인 면은 중국 융단을 따랐다. 그러나 최근에 나오는 염료는 변색하기 쉬워 선명했던 염색 효과가 자주 빨아서 바랜 듯한 부드러운 색조로 바뀌었다.

허톈 비단 융단은 모두 명주실을 이용하지만, 일부분은 금실이나 은실을 섞어 짜는 경우도 있다. 명주실로 바닥깔개를 짜는 기법은 오래 전의 페르시아식 폴란드 카펫에서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지만, 장식은 대체로 장미 꽃송이를 넣은 격자 도안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직 융단도 비슷한 도안을 이용하며, 그밖에 파란색이나 빨간색 동그라미 3개가 1벌을 이루는 도안, 작은 꽃병에서 뻗어나온 석류 덩굴, 4각형 속에 국화꽃을 넣은 격자 도안 등도 이용한다. 가장자리는 중국식 물결무늬와 번개 모양의 연속무늬, 또는 꽃이 핀 덩굴무늬를 넣을 수 있다. 여러 사람이 사용하기 위한 여러 겹의 기도용 깔개인 '사프스'는 양모와 명주실로 짠다.

기도석 도안을 1줄 이상 넣은 비슷한 깔개는 옛날 오스만 제국의 우샤크와 인도 무굴 제국에서도 만들어졌고, 에르사리 투르크멘도 만들었다. 양털 보풀이 있는 허톈 융단은 무명실을 날실로 삼고 잡다한 색깔의 양모나 무명실을 씨실로 삼으며, 보통 센나 매듭을 이용한다. 바탕색은 대개 빨간색이지만, 파란색·노란색·흰색을 쓰기도 한다. 지금은 많이 바랬다고 생각되는 색깔들도 처음 나왔을 때는 선명하고 강렬한 색깔로 여겨졌다. 특히 아닐린 염료로 만든 자주색은 거의 충격적이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공예

공예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허톈 융단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