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프로티치

다른 표기 언어 Stojan Proti
요약 테이블
출생 1857. 1. 28, 세르비아 크루셰바츠
사망 1923. 10. 28, 베오그라드
국적 세르비아

요약 세르비아의 정치가·편집자.

1918~19, 1920년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의 초대 총리를 역임했다. 베오그라드에서 역사학·문헌학을 공부하면서 잠시 동안 정부 부서에서 일했다. 그뒤 언론활동에 전념하여 세르비아 급진당의 일간지인 〈사모우프라바 Samouprava〉('자율'이라는 뜻)의 편집자가 되었다. 보도위반죄로 잠시 수감되었지만, 1884년에는 신문 〈오뎨크 Odjek〉('산울림'이라는 뜻)를 편집했고 세르비아의 헌법 개정을 강력히 주장했다.

1887년 의원으로 당선되어 보다 민주적인 헌법을 기초하기 위한 위원회에서 간사로 활동했는데, 이 헌법은 1889년 채택되었다. 1888~97년 의원직에 재선되었으며, 1894년에는 월간지 〈델로 Delo〉('행위'이라는 뜻)를 창간·편집했다. 1868~89년 세르비아를 통치했던 전(前) 국왕 밀란에 대한 암살미수사건이 일어나자 정부는 세르비아 급진당을 억압했고, 프로티치는 반역죄로 20년의 구속중노동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1900년 형집행 정지처분을 받았고 1901년에는 의원으로 재선되었다. 1903년 이후 니콜라 파시치, 라자르 파추와 함께 급진당 지도자가 되었고, 급진당 대표로 정부에 들어가 1903~18년에 내무장관(2차례)과 재무장관(2차례)을 역임했다. 1914년 6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세르비아에 최후통첩을 보냄으로써 제1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었다. 프로티치는 당시 수도를 떠나 있던 파시치 총리와 선임장관 파추(당시 베오그라드에 있었음)를 대신하여 세르비아의 대응책을 마련했다.

전쟁이 끝난 뒤 그는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의 총리직을 맡아달라는 요청을 받고 새 국가 내의 모든 분파를 포괄하는 내각을 구성했다. 그는 1919년 8월 16일 사임했으나 1920년 2~5월 다시 총리직을 역임했다. 1920~21년에는 제헌의회장관으로 재직하면서 온건한 지방분권화를 주장했는데, 이 주장은 중앙집권주의자인 파시치를 비롯한 급진당 다수파와 불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프로티치는 분권화 견해를 널리 보급하기 위해 〈라디칼 Radikal〉을 창간했으나 그의 견해는 1921년 헌법에 수용되지 않았다. 1923년에는 독립급진당 소속으로 의원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프로티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