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합천군의 유물·유적·관광

다른 표기 언어

군내에는 세계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재(국보 3, 보물 19, 사적 및 명승 3, 천연기념물 1, 중요민속자료 2),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34, 민속자료 1, 기념물 16), 문화재자료 43점이 있다.

청량사석불좌상의 사각대좌

청량사석불좌상의 사각대좌(통일신라), 높이 210cm, 경남 합천군 가야면 황산리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신석기시대 유적이 봉산면 봉계리와 대양면 대목리 등지에서 발견되어 이 시기부터 인간이 거주했음을 알 수 있다. 합천군은 고령군과 함께 가야문화가 발달했던 곳으로, 곳곳에서 가야시대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고분들이 많다. 쌍책면 성산리 합천옥전고분군(陜川玉田古墳群, 사적 제326호), 삼가면 소오리 삼가고분군(경상남도 기념물 제8호) 등이 대표적이다. 합천옥전고분군은 2023년 9월 고령 지산동 고분군, 김해 대성동 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고성 송학동 고분군, 전북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결정되었다.

야로면 하빈리에는 삼국시대의 미숭산성(경상남도 기념물 제67호)이 있다. 가야면 치인리의 가야산해인사일원(사적 및 명승 제5호)은 예로부터 대한8경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 명승지로 많은 불교문화재가 있다. 이곳에 있는 해인사대장경판전(海印寺大藏經板殿, 국보 제52호)에는 해인사대장경판(海印寺大藏經板, 국보 제32호), 해인사고려각판(海印寺高麗刻板) 28종 2,725매(국보 제206호)와 해인사고려각판 26종 110매(보물 제734호)가 보존되어 있으며, 그밖에 해인사석조여래입상(보물 제264호)·합천치인리마애불입상(보물 제222호)·반야사원경왕사비(보물 제128호) 등이 있다.

또한 경내에는 해인사대적광전(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56호)·해인사목조희랑대사상(海印寺木造希朗大師像, 보물 제999호)·해인사법보전비로자나불좌상(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1호)·해인사3층석탑(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54호)·해인사석등(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55호)·해인사길상탑(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53호)·해인사봉황문(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54호), 해인사원당암다층석탑 및 석등(보물 제518호) 등이 있다.

가야면 황산리의 청량사에는 청량사석등(보물 제253호)·청량사석조석가여래좌상(보물 제265호)·청량사3층석탑(보물 제266호)이 있고, 야로면 월광리에는 월광사지3층석탑(보물 제129호), 대양면 백암리에는 합천백암리석등(보물 제381호)·대동사지석조여래좌상(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2호), 가회면 합천영암사지(陜川靈巖寺址, 사적 제131호)에는 영암사지귀부(보물 제489호)·영암사지쌍사자석등(보물 제353호)·영암사3층석탑(보물 제480호)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초계면에 초계향교(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7호), 야로면에 합천향교(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8호), 삼가면에 삼가향교(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9호) 등이 대표적이다. 건축물로는 봉산면에 현산정(玄山亭,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56호), 봉서정과 도촌별묘(鳳棲亭陶村別墓,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5호), 가회면에 구음재(龜陰齋,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4호), 야로면 정대리에 추본사·명곡사(追本祠明谷祠,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4호) 등이 있다.

그밖의 문화재로는 해인사에 광해군 내외 및 상궁옷(중요민속자료 제3호) 4착, 묘산면에 합천묘산묵와고가(陜川妙山默窩古家, 중요민속자료 제206호), 대병면에 송씨종가(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05호)가 있다.

야로면에 경재선생문집책판(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70호), 가회면에 추담선생문집책판 및 구산선생문집책판(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0호), 대병면에 존양재선생문집책판(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48호)·화산세고책판(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59호), 청덕면에 쌍청당실기책판(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57호), 합천읍에 주자영정(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27호)이 있다. 묘산면에는 합천묘산면의 소나무(천연기념물 제289호), 쌍책면에 합천배티세일동굴(경상남도 기념물 제70호)이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1972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가야산이 있으며, 이곳에는 우리나라 3대사찰로 유명한 해인사가 있다. 해인사에는 일주문 안에 명부전·삼성각·응진전·조사전·퇴설당·응향각·관음전 등을 포함하여 50채가 넘는 건물이 있다. 가야산은 웅장하고 아기자기한 맛이 잘 조화된 빼어난 산이다.

해인사 전경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히 가야면 구원리에서 해인사에 이르는 가야천 주변의 협곡인 홍류동 계곡은 가야산에서도 가장 아름답다고 알려진 곳이다. 골짜기의 물이 봄에는 꽃으로, 가을에는 단풍으로 붉게 물들어 흐른다 하여 홍류동이라 한다. 이곳은 울창한 숲도 아름답지만, 속세의 소리를 끊어버릴듯이 우렁차게 흘러내리는 물소리가 유별난 정취를 느끼게 한다.

홍류동 계곡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용주면 황계리에는 주변의 산수와 어울려 장관을 이루는 황주폭포가 있다. 이 폭포는 구장산에서 발원한 물이 약 20m의 절벽 위에서 떨어진다. 1983년 황매산 일대가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합천군을 찾아오는 관광객수는 연간 67만 명 정도이다(2006).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상남도

경상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합천군의 유물·유적·관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