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군내에는 세계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재(보물 2, 사적·명승 2, 천연기념물 3, 중요민속자료 1), 지방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17, 기념물 10, 민속문화재 1, 무형문화재 2), 문화재자료 23점이 있다.
옛 아라가야의 도읍지로 알려진 함안 땅에 일찍부터 농경문화가 꽃피었음을 보여주는 선사시대의 유물·유적이 군내 전역에 산재해 있다. 함안면·칠원면·군북면 등지에 고인돌군이 있으며, 가야시대의 유적으로는 가야읍의 함안도항리고분군(사적 제84호)·함안말산리고분군(사적 제85호) 등이 있다. 특히 함안 고분군은 2023년 9월 고령 지산동 고분군, 김해 대성동 고분군,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고성 송학동 고분군, 합천 옥전 고분군, 전북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 등재가 결정되었다.
성곽으로는 아라가야의 옛 궁터로 추정되는 가야읍 광정리와 함안면 괴산리에 걸쳐 있는 함안성산산성(咸安城山山城, 사적 제67호), 함안면에 동지산성(冬只山城)·함안읍성 등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미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는 군북면 하림리의 방어산마애불(防禦山磨崖佛, 보물 제159호)을 비롯하여 함안면의 함안대산리석불(보물 제71호), 군북면 사촌리의 원효암칠성각(元曉庵七星閣,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5호), 칠북면 영동리 장춘사의 장춘사석조여래좌상(長春寺石造如來坐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7호)·장춘사5층석탑(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8호)·장춘사대웅전(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6호) 등이 있다.
이곳에는 많은 전적들이 보존되어 있는데 칠서면 무릉리의 무릉잡고책판 및 수구집구봉집책판(武陵雜稿冊板─守口集龜峰集冊板,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72호), 대산면 장암리의 간송문집책판 및 금라전언록책판(澗松文集冊板─金羅傳言錄冊板,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80호), 산인면 모곡리의 백운래홍첩(白雲來鴻帖,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88호) 등이 대표적이다. 유교문화재로는 칠서면 계내리에 우리나라 서원의 창설자인 주세붕의 묘역(경상남도 기념물 제33호)이 있고, 무릉리의 무산사(武山祠,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43호)에는 주세붕영정(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42호)이 보존되어 있다. 그밖에 함안면 봉성리의 함안향교(咸安鄕校,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1호), 칠원면 용정리의 덕연서원(德淵書院,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7호) 등이 있다.
건축물로는 칠원면의 함안무기리연당(咸安舞沂里蓮塘, 중요민속자료 제208호)·함안무기리주씨고가(경상남도 민속자료 제10호), 군북면 원북리의 어계생가(漁溪生家,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59호) 등이 있다. 천연기념물로는 칠원면 용산리에 함안층의 새발자국화석(천연기념물 제222호), 칠북면 영동리에 함안칠북면의 회화나무(천연기념물 제319호), 법수면 대송리에 함안법수면의 늪지식물(천연기념물 제346호) 등이 있다.
아라가야의 도읍지로 일찍이 문화가 발달하여 각종 고분을 비롯한 역사적인 유물·유적 등이 산재해 있을 뿐만 아니라 낙동강과 남강을 끼고 아담한 산들이 솟아 있어서 잔잔한 정취를 느끼게 한다. 대표적인 관광지는 대산면 서촌리의 악양루와 백사장, 군북면 월촌리 남강변에 자리한 와룡정(臥龍亭), 칠서면 용성리의 경양대(景釀臺), 가야읍 말산리의 아라공원 등이 있고 군내의 많은 저수지는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함안군의 유물·유적·관광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