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한얼교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정일회, 正一會

요약 1965년 신정일이 창시한 종교. 1967년 '정일회'라는 이름으로 종교단체로 등록한 이후 1978년 '한얼교'로 개칭했다. "홍익인간" 정신을 확장한 "모든 존재를 널리 이롭게 하리라"를 주된 창교 이념으로 하며, 만물의 본질은 하나이며 인류는 하나라는 의미의 "내얼이 한얼이다"와, 신앙의 방식은 달라도 진리는 하나라는 의미의 "만교일본 만법귀정"을 바탕으로 한 "수용신앙"을 주요 교리로 한다. 창교주 신정일의 사상과 철학을 집대성한 <한얼말씀>을 경전으로 하며 6대 교절을 지킨다.

1965년 신정일(申正一)이 창시한 신종교. 1967년 '사단법인 정일회(正一會)'라는 명칭으로 종교단체로 등록했으며 1978년 2월 '한얼교'로 개칭했다. 한얼교의 창교 이념은 "홍익인간(弘益人間)"의 개념을 확장한 "모든 존재를 널리 이롭게 하리라"로, 이를 "한얼정신"이라고 표방한다. 또한 "내얼이 한얼이다(만물의 본질은 하나이며 본질적 차원에서 온 인류는 하나다)"와 "만교일본 만법귀정(萬敎一本 萬法歸正, 신앙의 방식은 다를지언정 신앙의 근원인 진리는 하나다)"를 근본 교리로 하여 종교간의 차이를 존중하고 수용하는 "수용신앙"을 신앙생활의 근본으로 삼고 있다.

1988년 간행된 <한얼말씀>을 토대로 1998년 교주 신정일의 사상과 철학을 집대성해 펴낸 <한얼말씀>(36권)을 대표 경전으로 사용하며, 교단의 주요 행사로 6대 교절이 있다. 1999년 교주 신정일이 타계한 후 교단 개혁을 통해 신앙과 교단 운영을 분리했으며, 수용신앙을 근간으로 교단의 형식과 관습을 초월하여 온라인으로 다양한 신앙활동과 문화활동을 통해 한얼교의 교리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한얼정신문화예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박승길(2016), 종교시장적 지형 속의 신종교운동과 종교지형 변화, <해방이후 종교지형 형성과 신종교운동>, 한국종교 제40집,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 ・ 문화체육관광부(2018), 2018년 한국의 종교 현황
  • ・ 김홍철(2013). 한국 신종교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종교 제36집,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

종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한얼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