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설립 | 1957년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가길 32 생산성빌딩 |
사이트 | http://www.kpc.or.kr/ |
요약 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특별법인. 경영의 개념을 보급하고 경영 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해 전문화된 지식서비스를 기반으로 생산성연구조사, 교육훈련, 컨설팅, 지수조사발표, 자격인증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통합적 솔루션을 제공하는 국내 최초의 경영 교육 및 컨설팅 전문기관이다.
연혁
한국생산성본부는 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1957년 8월 28일 재단법인으로 설립되었다.
1960년 4월 아시아 생산성기구(APO) 회원국에 가입했으며, 1967년 3월 국내 최초로 컴퓨터를 도입했다. 1974년 정부로부터 열관리진단기관으로 지정받았고, 1978년에는 중소기업 경영진단기관과 내자조달물자 원가계산 담당기관으로 지정되었다. 1986년 7월 공업발전법 제15조(현 산업발전법 제32조)에 의해 특별법인으로 개편되었다. 1987년 7월 중소기업의 창업을 전담하는 한국기업상담주식회사를 설립했으며, 1994년에는 한국생산성본부 품질인증원(주)과 출판전문 회사 비북스(주)를 설립했다.
1996년에는 중소기업청으로부터 환경경영체제 최우수 모범진단, 지도기관으로 지정받았다. 1998년, 산업자원부로부터 전자상거래지원센터로 지정받았다. 2007년 11월에는 ‘우수 민간교육훈련기관’ 대통령 단체표창을 받았고, 2012년 12월, ‘일자리 창출 지원 유공기관’ 대통령 단체표창을 수상했다.
조직 구성
조직은 회장 1명, 감사팀, 경영지원부문, 컨설팅부문, 교육훈련부문 등 3개 부문,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대전·충정, 호남 등 4개 지역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조직으로 경영지원부문에 기획조정실을, 컨설팅부문에 경영컨설팅본부·CS컨설팅본부·생산성연구소를, 교육훈련부문에 공개교육본부·맞춤형교육본부·자격인증본부를 두고 있다.
관련기관으로 (주)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주)한국사회능력개발원, (주)한생미디어 등이 있다.
주요 업무
주요 사업에는 교육훈련사업, 생산성 관련 통계 및 조사연구사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 연구개발 및 보급 사업,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생산성 향상을 위해 위탁한 사업, 그밖에 한국생산성본부의 정관으로 정하는 사업 등이 있다.
교육훈련사업으로 경영직무교육, 계층리더십역량교육, 온라인모바일교육, 최고경영자교육, 취업·전직 교육, 해외연수 등이 있고, 생산성 연구 조사 사업에는 국가생산성대상, 생산성경영시스템(PMS) 인증, 국가 승인 통계, 생산성 관련 연구조사, 아시아생산성기구(APO) 협력사업 등이 있다. CS 브랜드 IT 컨설팅, 제조혁신컨설팅, 경영컨설팅 등을 제공하며, 국가고객만족도(NCSI),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다우존스지속가경영지수(DJSI Korea) 등의 생산성 지수를 조사 발표하고, 각종 국가공인·민간공인·국제공인 자격증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제/노동단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