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풍구타령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황해도 민요.

풍구는 바람을 일으키는 연장인데, 표준어는 '풀무' 이다. 지방에 따라 '불무' 또는 '불미' 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는 지방마다 불무타령 또는 불미타령이 많이 전해진다. 일에 관련된 것도 있고, 풀무를 묘사한 곳도 보이지만, 메기는 소리에 담긴 뜻은 임에 대한 그리움과 기다림이다.

풍구타령

악보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가락이 서도 소리의 구성음으로 짜였으면서도, 맨 아래음인 '레(D음)' 보다 완전 4도가 낮은 '라(A음)'에서 '레(D음)' 로 끝나는 점이 이채롭다. 보통 굿거리나 타령 장단으로 되어 있는데, 독창 부분이나 제창의 둘째 소절에서와 같이, 엇박자의 기법을 쓰고 있는 데도 있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어기야차 불어라 불불 불어라/슬근 살짝 불어도 가마솥만 나온다

신기 곡산 풍구(1)는 칠팔명이 불어도/우리집의 풍구는 단둘이만 불잔다/어기야차 불어라 불불 불어라/슬근 살짝 불어도 가마솥만 나온다

신기 곡산 풍구가 얼마나 좋길래/꽃 같은 날 두고 돌아올 줄 모르나/어기야차 불어라 불불 불어라/슬근 살짝 불어도 가마솥만 나온다

신기 곡산 풍구는 참나무 등굴을 뇍이고/대장간의 풍구는 무쇠덩이를 뇍인다/어기야차 불어라 불불 불어라/슬근 살짝 불어도 가마솥만 나온다

(1) 신기 곡산 풍구 : 신계와 곡산은 황해도의 산간 지방에 자리 잡은 곳으로서 숯막 따위가 흔했으니 풍구를 쓸 일이 많았겠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한국음악

한국음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풍구타령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