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포플러

다른 표기 언어 poplar
요약 테이블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버드나무목 > 버드나무과 > 사시나무속
원산지 북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서식지 습지
크기 약 60m
꽃말 비탄, 애석
개화기 3~4월

요약 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 활엽교목. 포플러류는 주로 북반구의 온대지방에 약 40종이 살고 있으며, 전 세계 어디서나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사시나무, 황철나무, 당버들 등이 자생하고 도입종으로는 미루나무, 양버들, 은백양, 이태리포플러 등이 있다. 생장속도가 매우 빨라서 속성수의 대표 수종이며, 적응력이 강하다. 수피는 회색이며, 수령이 많아지면 갈색으로 되고 수피가 갈라진다. 초기에는 농경지의 방풍림이나 마을의 조경목으로 이용되었다. 현재도 주요 조림수종으로 쓰인다.

포플러

ⓒ WIKIMEDIA COMMONS (Roman Zacharij) | public domain

개요

버드나무과 포플러류에 속하는 교목. 학명은 Populus spp.이다. 속명 'Populus'는 ‘인민’이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에서 왔을 정도로 사람과 가까이 있고 친근한 수종이다. 포플러속에는 많은 수종이 있으나 이들 모두를 통칭하여 ‘포플러’라고 부른다. 국내에서는 근래에는 포플러로 통용되고 있지만, 개량종 포플러가 많이 보급되던 1950~70년대에는 중부 이북지방에서는 포플러를 주로 미루나무로, 일부 남부지방에서는 버드나무로 부르기도 했다.

형태

키는 30m까지 자라며, 수피는 회색이고, 오래된 수령의 나무는 수피가 갈색으로 변하면서 갈라진다. 포플러류의 잎은 대부분 넓고 삼각형이지만, 일부는 둥글거나 혹은 피침형도 있다. 잎이 피기 전에 개화하고 화서는 유이화서이며 수술이 많고 보통 붉은 색을 띤다.

생태

배수가 잘되는 중성 사질양토의 냇가나 하천부지에서 잘 자란다. 포플러는 공해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추위에 강하며, 생장속도가 빠르다. 포플러류는 자연교잡이 잘 이루어진다.

종류

포플러류 중의 하나인 현사시나무(은사시나무)는 1950년대 수원사시나무와 은백양이 자연 교잡되어 만들어진 잡종으로 생장속도가 빠른 속성수이다. 잎의 겉모양은 수원사시나무를 닮았고, 뒷면이 은백양처럼 흰색 털로 덮여 있다.

유라시아산 포플러 중 은백양과 흑양 2종이 잘 알려져 있는데 모두 북아메리카에서 귀화식물로 자라고 있다. 은백양은 잎과 어린가지에 흰색의 털이 덮여 있어 'silver poplar'라고도 하고 갈라진 잎이 단풍나무 잎처럼 생겨 'maple leaf poplar'라고도 하는데, 키가 30m에 달하며 옆으로 퍼져 자란다. 포풀루스 알바 볼레아나는 외양이 원기둥형인 은백양의 변종이다.

흑양은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진 잎이 달리며 줄기가 길어 35m에 이른다. 양버들도 원기둥형이다. 포풀루스 타카마하카는 북아메리카 북부의 전역에 걸쳐 습지로 된 땅이 원산지이며 향기롭고 수지가 있는 눈이 특징적이다. 포풀루스 칸디칸스의 눈은 연고를 만드는 데 쓰인다. 큰사시나무는 키가 60m로 북아메리카 북서부에서 자라는 가장 큰 낙엽 교목 중 하나이다.

활용

북미 원주민들에게는 신성한 약용나무로 취급되었다. 특히 미국사시나무의 수피에는 salici와 populin 성분이 있는데, 이는 해열제, 강장제, 이뇨제로 쓰인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사시나무나 황철나무 수피는 성질이 차고 맛이 쓰며 독성이 없어서 모든 풍(風)과 각기(脚氣)와 종(腫)을 다스리며, 풍비(風痺)와 타박(打撲)의 어혈작용과 절상(折傷)의 혈역통(血疫痛)을 다스리고 근골(筋骨)이 끊어진 것을 잇는다고 하였다. 은사시나무는 조경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 축산폐수를 처리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돼지 사육농가 근처에 심기도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4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포플러
다른 백과사전

속씨식물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포플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