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포포프

다른 표기 언어 Aleksandr Stepanovich Popov
요약 테이블
출생 1859. 3. 16(구력 3. 4), 러시아 페름 투린스키예루드니키
사망 1906. 1. 13(구력 1905. 12. 31)
국적 러시아

요약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의 물리학자.

포포프(Aleksandr Stepanovich Popov)

ⓒ scan of old photograph/wikipedia | Public Domain

러시아에서는 라디오의 발명가로 인정받는 전기공학자이기도 하다.

분명히 그는 동시대의 이탈리아 발명가 G. 마르코니의 업적을 알지 못한 채 최초의 원시적인 전파 수신기인 번개검출기를 만들었다(1896). 포포프의 성공적인 실험의 진실성과 가치를 의심하지는 않지만 러시아 외부에서는 대개 마르코니의 우선권을 인정하고 있다.

마을 목사의 아들이었던 그는 신학교에서 초기교육을 받았고 성직자가 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1877년 수학으로 관심을 바꾸었고 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교에 들어가 1883년에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 그 대학교의 강사진에 합류한 포포프는 교수가 되기 위해 수학과 물리학을 가르쳤다. 그러나 포포프는 곧 전기공학으로 관심을 돌렸으며 당시의 러시아에는 그 과목을 가르치는 대학이 없었기 때문에 상트페테르부르크 근처 브라쇼브에 있는 해군어뢰학교의 교사가 되었으며 군함의 전기장치를 다루는 것을 가르쳤다. 포포프는 외국서적과 정기간행물을 구비해놓은 그 학교의 도서관을 이용했고 시설이 잘 갖추어진 그곳 실험실에서 외국의 과학적 발전을 따라서 실험을 수행했다.

독일의 물리학자 H. 헤르츠의 전자기파 발견의 중요성을 인식한 그는 장거리에 걸쳐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포포프는 대기 중의 전기 교란을 기록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 1895년 7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임학연구소 기상대에 장치했다. 몇 개월 후에 발표한 논문에서, 그는 충분한 전력원이 제공될 수 있다면 그러한 기구가 인공 진동원에서 나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데 쓰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1896년 3월 상트페테르부르크 물리학회에 나와 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교 건물들 사이에 헤르츠파(그당시에 불려진 이름)를 전달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때 '하인리히 헤르츠'라는 단어가 모스 부호로 전달되었고 수신된 청각신호를 모임의 의장이었던 학회 회장이 흑판에 기록했다는 증거가 있다. 그러나 그는 1895~96년 어뢰학교에서 막 발견된 뢴트겐선(X선)에 관한 실험을 하는 데 관심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잠시 동안 자신의 번개검출기를 계속 발전시키는 일을 그만두었다.

1896년 여름 내내 니주니노브고로트(지금의 고리키)의 연중박람회의 발전소 담당 전기기사로 일했는데 이곳에서 자신의 번개검출기 시범으로 상을 받았다. 그뒤 그는 1896년 9월 처음으로 마르코니의 증명을 소개한 신문을 읽었다. 마르코니나 포포프 모두 그들 실험간의 밀접한 유사성을 알지 못했던 것이 분명한 것 같다. 1896년 6월 마르코니의 특허에서 발표된 것처럼 그의 연구에 관한 소식은 포포프에게 신선한 활력으로 작용했다. 러시아 해군과 공동으로 일하면서 그는 1898년경 약 10㎞ 떨어져 있는 선박과 해안 간의 통신을 실행했다.

거리는 점점 멀어져 그 다음해 말경에는 약 50㎞에 이르렀고, 그해 프랑스와 독일에서 작동되고 있던 무전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그는 러시아 당국으로부터 거의 지원을 받지 못했으며 50년이 지난 뒤에야 국가의 태도와 열정이 변화했다. 1945년 5월 7일 볼쇼이 극장은 A. S. 포포프에 의한 50회 라디오 발명의 날을 축하하려는 저명한 청중들로 가득 찼다. 무대 위에는 과학자, 장군, 해군장성, 인민위원, 공산당 지도자 및 포포프의 딸이 앉아 있었다.

이후 5월 7일이 라디오의 날로 기념될 것임이 발표되었다. 헤르츠파와 관련된 포포프의 실험적 연구가 인정받을 만하다는 데에는 동의하지만 무선통신이 실제로 포포프에 의해 발명되었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역사적 연구에 의해 포포프가 1896년 3월 이해할 수 있는 신호의 전달을 증명했다는 간접적인 증거가 밝혀진 것은 사실이나 마르코니가 비록 과학자들 앞에서는 아니지만 훨씬 더 일찍 이해할 수 있는 신호의 전달을 증명했다는 증거가 있다.

1901년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가 전기기술 연구소의 교수가 되었고 후에 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5년 후에 죽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과학자

과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포포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