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27. 2. 20, 미국 플로리다 마이애미 |
---|---|
사망 | 2022. 1. 6,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
국적 | 미국/바하마 |
요약 바하마·미국 국적의 배우·영화감독. 미국의 영화산업에서 인종장벽을 무너뜨린 배우로 평가된다. 1964년 흑인 배우 최초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949년 <노 웨이 아웃>이라는 영화에 출연하면서 헐리우드에 진출해 <폭력교실>, <들판의 백합>, <밤의 열기 속으로>, <초대받지 않은 손님>, <언제나 마음은 태양>, <흑과 백> 등에 출연했다. 말년에는 영화 감독을 하기도 했으며, 일본 주재 바하마 대사를 역임했다.
초기 생애
미국과 바하마 국적의 배우이자 영화감독. 부모는 당시 영국령 서인도제도였던 바하마에서 살고 있었는데, 농산물을 팔기 위해 미국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로 여행을 왔다가 시드니 포이티어를 조산했다. 그에 따라 시드니 포이티어는 자동적으로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고, 타계할 때까지 미국과 바하마의 이중국적을 유지했다. 시드니 포이티어는 바하마에서 자랐고 제2차 세계대전중에는 미군 의무부대에서 복무했다.
연기 활동 시작
전쟁이 끝나자 시드니 포이티어는 배우가 되기로 결심하고 뉴욕 시의 아메리칸 니그로 극단(ANT)에 지원했다. 발음 때문에 입단허가를 받지 못하자, 6개월 동안 라디오를 들으며 발음을 연습한 뒤 다시 지원했다. 입단에 성공하여 연기를 공부하고 그 극단의 공연에 연속 출연했으며, 1959년 브로드웨이에서 공연한 로레이 핸스베리의 〈태양 속의 건포도(A Raisin in the Sun)〉에 출연하여 갈채를 받았다.
영화계 진출
시드니 포이티어는 영화 〈노 웨이 아웃(No Way Out)〉(1950)에 출연하면서 관객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가 출연한 유명한 영화로는 〈폭력교실(Blackboard Jungle)〉(1955)·〈흑과 백(The Defiant Ones)〉(1958)과,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받은 〈들판의 백합(Lilies of the Field)〉(1963), 그리고 〈밤의 열기 속으로(In the Heat of the Night)〉(1967)·〈초대받지 않은 손님(Guess Who's Coming to Dinner)〉(1967) 등이 있다.
그외에도 <언제나 마음은 태양( To Sir, With Love )>에서는 영국 런던의 빈민가 고등학교에 부임한 신참 흑인 교사의 역을 맡아 애정 어린 교육을 통해 반항기 많은 학생들을 포용하는 과정을 뛰어나게 연기하여, 대중적으로 큰 명성을 얻었다. 그가 출연한 대부분의 영화에서 포이티어는 인종 갈등을 극복하는 역할을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미국영화산업에서 인종장벽을 무너뜨려 흑인의 배우활동을 가능하게 한 배우로 평가받았다.
말년
1969년 시드니 포이티어는 퍼스트아티스트영화사를 세우고, 〈검둥이와 목사(Buck and the Preacher)〉(1972)·〈포근한 12월(A Warm December)〉(1973)·〈스터 크레이지(Stir Crazy)〉(1980)·〈행키 팽키(Hanky Panky)〉(1982) 등의 영화를 감독했다. 미국과 바하마의 이중국적이었던 그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일본 주재 바하마 대사를 지냈고, 2002년부터 2007년까지는 유네스코 주재 바하마 대사를 겸임했다.
저서
시드니 포이티어는 <이런 삶(This Life)>(1980), <인간의 척도: 영적 자서전(The Measure of a Man: A Spiritual Autobiography)>(2000), <척도 너머의 삶: 나의 증손녀에게 주는 편지(Life Beyond Measure: Letters to My Great-Granddaughter)> (2008)를 썼는데, 세번째 책은 오프라 윈프리 북클럽에서 선정하여 화제가 되었다. 그는 소설 <몬타로 케인(Montaro Caine)>(2013>이라는 소설을 발표하기도 했다.
평가
1964년 흑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아카데미상 후보에 2회, 골든 글로브 후보에 10회, 에미상 후보에 2회 등 유력한 영화상 후보로 지명되었다. 1994년에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게서 명예 기사 작위를 받았고, 2001년에는 명예 아카데미상을 수상했으며, 2009년에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서 대통령 자유 메달을 수상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배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