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47. 6. 11, 잉글랜드 서퍽 알데버러 |
---|---|
사망 | 1929. 8. 5, 런던 |
국적 | 영국 |
요약 50여 년 간 영국의 여성 참정권운동을 이끈 지도자.
목차
접기여성 참정권 운동가
적대적인 남성들에 대항하여 여성의 정치적 권리를 위해 투쟁했다. 에밀린 팽크허스트와 그녀의 딸 크리스터벨 팽크허스트의 과격한 방법에는 동의하지 않았으나, 1905년부터 이들에 대한 대중의 적대감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했다. 1871년 영국 최초의 여자대학 중 하나인 케임브리지대학교 뉴넘 칼리지를 설립하기도 했다.
생애
그녀는 급진적인 성향의 선주(船主)인 뉴슨 개럿의 10명의 자녀 가운데 일곱째로 태어났다. 1867년 4월 23일 급진주의적인 정치가이며 케임브리지대학교의 정치경제학교수였던 헨리 포셋과 결혼했다. 그녀는 남편이 시각장애를 이겨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었고 남편은 1868년 여성 참정권에 대한 연설을 계기로 시작된 그녀의 사회활동을 도왔다. 1897년 포셋은 ‘여성참정권협회국민동맹(NUWSS, National Union of Women's Suffrage Societies)’의 의장이 되었다.
1918년 드디어 약 600만 명의 영국 여성에게 참정권을 부여하는 인민대표법(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이 통과되었다. 10년 뒤 영국의 여성들에게는 남성과 동등한 투표권이 부여되었다. 1919년 포셋은 전국동등시민권연합(National Union for Equal Citizenship)으로 이름을 바꾼 전국여성참정권단체연합의 의장직에서 물러났다. 1901년 7월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쟁중에 포셋은 영국 정부의 명령으로 보어인 강제수용소의 실태를 조사했다. 제1차 세계대전중에 자신이 이끌던 조직을 동원하여 조국을 지원했으며, 전쟁이 끝난 후 영국 정부로부터 데임(Dame)의 칭호를 받았다.
저서
저서로는 그녀의 사후에도 계속 애독되고 있는 〈정치경제학 입문 Political Economy for Beginners〉(1870, 9판 1904)과 소설인 〈재닛 동커스터 Janet Doncaster〉(1875) 외에 〈여성의 승리, 그리고 그후 The Women's Victory─and After〉(1920)·〈내가 기억하는 것 What I Remember〉(1924)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사회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