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평양특별시 외성구역 연화동에 있는 고구려 벽화고분.
1954년 북한의 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와 문화유물보존위원회에 의해 발굴·조사되었다. 널길과 앞방, 앞방 좌우벽에 달린 감실, 용도, 널방으로 이루어진 2감2실의 돌방봉토분으로 묘실의 방향은 남향이다. 봉분의 형태와 묘실 천장구조는 조사 당시 이미 파괴가 심한 상태였던 까닭에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남아 있는 앞방벽의 안기울기로 보아 앞방 천장구조는 궁륭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발굴 당시 앞방 오른쪽 벽에 달린 감실 입구에서 받침돌과 네모진 돌기둥 조각이 발견되어 본래는 서감실입구 좌우에 안악3호분 등에서와 같은 돌기둥이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널길의 동서너비는 0.96m, 남북길이는 1.00m이며, 앞방의 너비 3.12m, 길이 2.88m, 높이 2.90m, 동감실의 너비 0.48m, 길이 0.89m, 높이 0.97m, 서감실의 너비 0.39m, 길이 1.00m, 높이 1.00m이다. 묘실은 화강암제 깬돌로 쌓고 그 틈서리는 백회로 메웠으며 벽면과 천장면에 백회를 입힌 후, 그 위에 벽화를 그렸다.
묘실 바닥에는 무늬 없는 잿빛 벽돌을 깔고 그 빈 틈에는 백회를 다져넣었다. 무덤벽화의 주제는 인물·풍속이며 동·서 감실과 앞방벽 일부를 제외한 곳의 벽화는 백회의 박락과 안료의 퇴색으로 말미암아 그 내용을 알 수 없다. 앞방 오른쪽 벽의 서감실 입구 좌우벽에는 둥근 고리 긴 칼을 짚고 서 있는 문지기 장수가 묘사되었고 그 좌우에는 어깨에 전투용 도끼를 메고 감실을 향해 가고 있는 무인들의 행렬이 그려져 있다.
앞방 앞벽의 좌우측에는 오른쪽벽 무인행렬과 이어지는 그림으로 고취악대와 기마행렬이 표현되었다. 행렬을 이룬 인물들은 대개 검은 책을 쓰고 검은 가죽신을 신은 모습이다. 앞방 왼벽에는 방아 찧는 두 여인과 부엌그림의 일부가 남아 있다. 앞방 왼벽에 달린 동감실의 안벽에는 수레바퀴의 흔적이 보인다. 앞방 안벽에는 기마인물의 흔적이 희미하게 남아 있다.
묘실 안에는 금·은·동으로 만든 장식품의 조각들과 널에 쓰인 쇠못 등의 유물만 수십 점 수습되었다. 옆방의 변형으로 보이는 감실의 존재, 벽돌 모양의 석재를 이용해 축조한 묘실, 인물풍속 위주의 벽화구성 등으로 보아 고분의 축조 및 벽화제작시기는 안악3호분과 거의 같은 시기인 4세기 중엽경으로 추정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고구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