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편도선염

다른 표기 언어 tonsillitis , 扁桃腺炎

요약 미생물 중 보통 용혈성 연쇄상구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점막에 침입함으로써 편도선에 생기는 염증성 감염.

편도선염

ⓒ namtipStudio/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증상은 인후통·연하곤란·발열·쇠약감과 목 양쪽에 있는 림프절의 비대 등이 있다. 감염은 약 5일간 지속된다. 치료로는 열이 가라앉을 때까지 누워서 안정을 취하는 것과 다른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도록 격리시키는 것, 따뜻한 물로 인후를 세척하는 것, 약한 소독액으로 헹구어내는 것 등이 있다. 심한 경우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나 술폰아미드계 약물, 또는 2가지 모두 처방한다.

연쇄상구균에 의한 급성 편도선염의 합병증은 감염의 정도에 따라 중증도가 비례한다. 감염은 위쪽으로는 코·부비동·귀에 이르고 아래쪽으로는 후두·기관·기관지에까지 이르기도 한다. 독성이 있는 세균이 감염된 편도선에서 주위 조직들에까지 퍼져 편도 주위에 농양이 생기기도 한다(→편도선주위농양). 좀더 심한 합병증으로 멀리까지 영향을 주는 것에는 급성 신장염과 급성 류머트열이 있으며, 류머트열은 심장이 관련되는 수가 있다.

급성 감염이 반복되면 편도선에 만성 염증이 생길 수도 있는데, 만성 염증은 편도선이 커지고 목구멍에 통증이 되풀이해서 나타나고 계속되며 목의 림프절이 붓는 것 등이 특징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술로 제거한다(편도절제술). 성홍열·디프테리아·참호구강염 등도 급성 편도선염을 일으킬 수 있다. 디프테리아의 경우에는 편도선이 두껍고 하얀 점착성 막으로 덮이며, 참호구강염일 경우는 쉽게 닦여지는 회색 막으로 덮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편도선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