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09. 4. 4, 미국 매사추세츠 살렘 |
---|---|
사망 | 1880. 10. 6, 매사추세츠 케임브리지 |
국적 | 미국 |
요약 미국의 수학자·천문학자·교육가.
천왕성과 해왕성의 일반섭동(一般攝動)을 계산했다. 퍼스는 1829년 하버드대학교를 졸업하고 노샘프턴에 있는 라운드 힐 학교에서 G. 반크로프트와 함께 가르쳤다. 2년 뒤 수학강사로 하버드 교수의 일원이 되었다.
퍼스는 초기 2편의 연구에서 명성을 얻게 되었다. 첫번째 연구는 잡지 〈수학일지 Mathematical Diary〉에 실렸던 수학문제를 푼 것이었는데, 서로 다른 소인수가 4개 미만인 홀수 완전수는 없음을 증명한 것이었다. 2번째는 M. 드 라플라스의 〈천체역학 연구 Traité de mécanique céleste〉 처음 4권의 바우디치 번역을 개정하고 주석을 단 것이었다.
1833년 하버드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천문학과 수학 분야에서 유명한 교수가 되었다. 그뒤 10년 동안 일련의 교재를 썼고, 삼각함수·대수학·기하학·천문학·항해술에 대한 학술논문을 쓰고 물리학자 J. F. W. 허셜의 연구에 기초해 〈소리에 대한 기초연구 An Elementary Treatise on Sound〉(1836)를 썼다. 그로 인해 하버드 천문대가 생기게 되었고 1842년 하버드 퍼킨스좌 수학·천문학 교수가 되어 죽을 때까지 그 직위에 있었다(→ 하버드대학교). 이러한 재능을 가지고 그는 새로 발견된 해왕성의 궤도결정을 도왔고 해왕성 궤도와 천왕성 및 다른 행성들 궤도 사이에 일어나는 섭동을 계산했다.
미국 예술·과학 아카데미는 퍼스를 그 시대의 으뜸 가는 수학자로 인정하여 1847년 스미스소니언 연구소를 계획하고 조직하는 임무를 띤 5명으로 된 위원회의 위원에 지명했다. 1849~67년 새로 창설된 〈미국 역표와 항해역서 American Ephemeris and Nautical Almanac〉의 고문 천문학자로 있었고 1852년 미국연안측량과의 오랜 관계를 시작했다. 경도측량 지휘자로 시작해 1867~74년 측량지도 감독자가 되어 지방측량과는 별도로 국가의 첫 측지지도를 만드는 일을 감독했다. 또 1863년에는 국가과학협회 설립자 50명 중 한 사람이었다. 가장 훌륭한 저서는 배수 대수학의 가능한 계들을 연구한 〈선형결합대수 Linear Associative Algebra〉(1870)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과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