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평안남도 대동군 팔청리에 있는 고구려 벽화고분.
봉분은 원형이며 현재 남아 있는 봉분의 높이는 2m, 지름은 11m이다. 널길[羨道]·앞방[前室]·용도(甬道)·널방[玄室]으로 이루어진 돌방봉토분[石室封土墳]으로 묘실의 방향은 남향이다. 용도의 한가운데에는 네모난 돌기둥이 세워졌다.
벽돌 모양의 깬돌과 긴네모꼴로 다듬은 석재로 벽과 천장을 쌓고 벽면과 천장면에 백회를 바른 다음 그 위에 벽화를 그렸다. 앞방 천장은 평행굄, 널방 천장은 평행굄 또는 평행3각굄으로 추정된다. 앞방의 서북모서리 쪽에 제상대(祭床臺), 널방 안벽에는 널받침이 설치되었다. 벽화의 주제는 인물풍속 및 4신(四神)이다. 백회가 떨어져나간 곳이 많아 현재는 앞방벽과 용도벽 및 널방벽 일부에만 그림이 남아 있다. 앞방에는 묘주인의 생전생활 가운데 기념이 될 만한 것을 그렸고 널방에는 개인생활 및 내세안녕(來世安寧)과 관련된 내용을 그렸다. 벽화는 모두 묵선으로 밑그림을 그리고 윤곽에 맞추어 채색했는데, 필선의 사용법이 능숙하며 특히 물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묘사력이 뛰어나다.
앞방 오른벽에는 우진각지붕으로 되어 있는 커다란 기와집에서 시종들을 부리는 묘주인을 그렸다. 묘주인은 머리에 흰덧관(冠)을 얹은 검은 책(幘)을 썼다. 앞벽의 오른쪽에는 말 3마리를, 왼쪽에는 왼벽에서 이어지는 행렬도의 후미(後尾)를 묘사했다.
앞방 왼벽에는 안벽을 향한 묘주인의 행렬도를 그렸다. 행렬의 선두에는 고취악대가 있고 그뒤를 묘주인이 탄 수레와 문관·무관 복장의 인물들로 이루어진 기마행렬이 따르고 있다. 용도 왼벽에는 추녀가 잇닿은 2채의 고깃간이 묘사되어 있다. 걸대로 해서 3층으로 나누어져 있는 고깃간의 아래 걸대에는 6마리의 꿩이 걸려 있다. 널방의 4벽 모서리와 각 벽 윗단에는 기둥·도리·들보가 그려져 널방 안이 목조건물의 내부와 같은 느낌이 들게 했다. 널방 오른벽의 북측에는 북쪽을 향하여 두 손을 모아 읍(揖)하는 인물의 모습을 그렸으며, 남측에는 골기와지붕으로 되어 있는 외양간의 말들에게 여물을 먹이는 두 노복을 묘사했다. 널방 왼벽에는 누각에 앉아 광대들의 놀이와 바깥경치를 즐기는 묘주인을 위쪽에, 무덤 수호신인 청룡을 아래쪽에 그렸는데, 청룡은 뿔 달린 머리부분만 남아 있다. 널방 안벽에는 가운데에 커다란 기와집을 그리고 그 안에 시종들의 음식시중을 받는 묘주인을 그렸다. 음식 나르는 시녀들의 옷입음새가 안악2호분벽화의 인물들과 비슷하다. 기와집 좌우에는 변형구름무늬를 묘사하여 이곳이 현실세계가 아님을 나타냈다.
팔청리벽화고분은 묘실이 반지하에 설치되어 있고, 감실이나 옆방[側室]이 없는 두방무덤[二室墳] 구조이면서도 용도 가운데에 네모진 돌기둥이 세워진 점, 벽화의 표현수법이 세련되면서도 쓰인 색채가 다양하지 못한 점 등 시기를 달리하는 요소들이 섞여 있는 것으로 보아 무덤축조 및 벽화제작 시기가 5세기 전반을 넘어서지 못할 것으로 추정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고구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