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파울하버

다른 표기 언어 Michael von Faulhaber
요약 테이블
출생 1869. 3. 5, 프로이센 하이덴펠트
사망 1952. 6. 12, 뮌헨
국적 독일

요약 독일의 추기경, 뮌헨 대주교.

나치에 대해 반대한 것으로 유명하다.

로마에서 공부한 뒤 1892년 사제임명을 받았고, 1921년 추기경에 임명되었다. 독일 뷔르츠부르크(1899~1903)·슈트라스부르크(1903~11) 대학교들에서 가르친 뒤, 슈파이어의 주교(1911~17)와 뮌헨의 대주교(1917~52)를 지냈다. 나치의 전체주의·신이교주의·인종차별주의로부터 배척을 당한 그는 전국적인 혁명을 일으켜 바이마르 공화국에 대립하려고 한 히틀러의 뮌헨 봉기가 실패하도록 만드는 데 이바지했다.

나치 체제 아래서 〈유대교, 그리스도교, 독일 Judaism, Christianity, and Germany〉이라는 제목으로 유명한 설교를 했는데, 이 설교에서 그리스도교의 유대교 배경을 강조하고, 〈신약성서〉의 가르침들이 논리상 〈구약성서〉의 가르침을 따랐음을 지적했다. 더 나아가 독일 민족들이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뒤에야 비로소 문명화되었음을 강조했고, 그리스도교의 덕목들이 곧 독일 문화의 토대가 되었음을 강조했다.

1945년 제3제국이 몰락할 때까지 비록 정부로부터 반발을 샀으나 설교를 통해 나치주의를 열정적으로 비판했다. 1934, 1938년에 암살을 모면했다. 전쟁이 끝난 뒤 미국 점령군과 협력해서 일했고 서독 공화국이 주는 최고의 훈장인 대십자훈장을 받았다. 출판된 다른 저서들 가운데는 〈복음서들의 도덕적인 가르침 Die Sittenlehre des Evangeliums〉(1936)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파울하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