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파리니

다른 표기 언어 Giuseppe Parini
요약 테이블
출생 1729. 5. 22/23, 이탈리아 밀라노 근처 보시시오
사망 1799. 8. 15, 밀라노
국적 이탈리아

요약 이탈리아의 산문작가·시인.

호라티우스풍의 아름다운 연작 송시와 특히 이기적이고 천박한 밀라노 귀족사회를 풍자한 시 〈하루 Il giorno〉로 알려져 있다. 평민 출신인 파리니는 밀라노에서 바르나비테 수사들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 아르 카디아파의 전원시집 〈Alcune poesie di Ripano Eupilino〉(1752)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발을 들여놓았고 1753년 밀라노의 유명한 트라스포르마티 학회에 가입했다.

1754년 사제서품을 받았으며 가브리오 세르벨로니 공작 큰아들의 가정교사로 그의 집에 들어갔다.

1762년까지 그 집에서 보잘것없는 대우를 받으며 불행한 나날을 보냈다. 그러나 한 귀족의 유해와 한 시인의 유해가 진정한 귀족성에 관해 토론을 벌이는 〈Dialogo sopra la nobiltà〉(1757)와 〈하루〉(4권, 1763~1801)라는 걸작 풍자시를 발표함으로써 자신의 불행한 시절에 대한 충분한 보상을 받았다. 〈하루〉의 첫 2권으로 문학적 명성을 얻은 파리니는 〈Gazzeta di Milano〉의 편집자가 되었으며, 그뒤 팔라티노와 브레라에 있는 학교에서 인문대 교수로 일했다.

밀라노에서는 젊은 모차르트를 만났는데, 그는 파리니의 희곡 〈알바의 아스카니오 Ascanio in Alba〉를 대본으로 한 오페라를 작곡했다(1771 공연). 1796년 프랑스가 밀라노를 점령했을 때 파리니는 불편한 심기로 3년 동안 정부 관직을 맡았다. 그밖에 파리니의 중요한 작품으로는 20여 년에 걸쳐 쓴 송시가 있다(1795년 〈Odi〉로 출간됨). 또한 여러 편의 문학 논문과 미학 논문 〈Dei principi generali e particolari delle belle lettere〉(1801)도 썼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파리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