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회화에서 관람자가 그림을 실제로 착각할 정도로 대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것.
고대 그리스 화가들은 초기의 양식화된 미술에서 벗어나 새로운 미술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이것을 사용했다.
한 예로 제우크시스가 그린 포도는 너무나 사실적이어서 새들이 날아와 쪼아먹으려 했을 정도였다고 전해진다. 이 기법은 로마의 벽화가들에게도 인기가 있었다. 트롱프뢰유 자체가 화가의 주된 목표는 아니었지만 초기 르네상스 이후 유럽의 화가들은 정물화나 초상화에서 대상이 틀 밖으로 튀어나올 것처럼 그리거나 벽 또는 천장에 창문의 이미지를 그려 실제로 창을 통해 밖의 풍경을 보는 듯한 느낌을 조장하기도 했다.
15세기 이탈리아에서는 '인타르시아'라는 상감기법으로 성가대석이나 성구보관실을 장식했는데, 보통 반쯤 열린 문 사이로 선반 위의 여러 가지 물건이 보이는 찬장을 트롱프뢰유로 묘사하고 있다. 19세기 미국에서는 정물화가인 윌리엄 하네트가 카드 선반 그림으로 유명해졌는데, 여러 가지 카드와 오려낸 신문·잡지 들이 진짜처럼 그려져 있어 관람자는 그것을 선반에서 집어 들 수 있을 듯 느끼게 된다.
20세기 후반 벽화가인 리처드 하스는 주로 시카고와 뉴욕 시에 있는 건물외벽 전체에 트롱프뢰유로 그림을 그렸다. 주로 소품을 제작한 에어런 보로드는 20세기 최고의 토롱프뢰유 화가라고 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미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