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투자신탁

다른 표기 언어 investment trust , 投資信託 동의어 폐쇄형 신탁, closed-end trust

요약 주주의 자금을 모아 그것을 유가증권에 분산 투자하는 금융조직.
폐쇄형 신탁(closed-end trust)이라고도 함.

투자신탁

ⓒ Rattanasak Khuentana/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상호기금 또는 회사의 지분 자체보다는 분산된 소유권을 발행하는 기금신탁(基金信託) 등의 개방형 신탁과는 다르다.

폐쇄형 신탁은 고정된 양의 사외주(社外株)를 발행하는데, 이는 시장에서 거래된다. 그 주식의 가격은 투자신탁이 투자하고 있는 유가증권의 시장가치와 투자신탁 주식 자체의 수요·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대부분의 현대 투자신탁회사는 일반 규정의 제한하에서 자신의 재량하에 투자관리를 한다.

1860년초에 설립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투자신탁은 현대 투자신탁의 원형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그 기본적인 거래방식은 1822년 네덜란드의 빌렘 1세가 벨기에에 설립한 투자신탁에서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미국의 초기 신탁회사들은 영국 신탁회사들의 경영원리인 투자의 다변화 정책을 받아들였으나 영국 신탁회사에 비해 경영이 건실하지 않았다.

1929년 미국 증권시장의 붕괴로 투자신탁회사는 커다란 손실을 입었고 많은 수가 도산했다. 그러나 1930년대의 대공황을 거치면서 살아남은 신탁회사들과 새로이 설립된 회사들이 새로운 연방규제하에서 급속히 성장했다. 한국에서는 1969년의 증권투자신탁업법(법률 제2156호)으로 투자신탁 업무를 정하고 주식형과 공사채형으로 운용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금융

금융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투자신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