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201. 2. 18, 호라산 투스 |
---|---|
사망 | 1274. 6. 26, 바그다드 |
국적 | 페르시아 |
요약 페르시아의 탁월한 철학자·과학자·수학자.
투시는 이스마일리야의 통치자 나시르 앗 딘 아브드 알 라힘의 점성가가 되었다. 그후 이스마일리야에 속한 것처럼 가장하여, 이스마일리야의 테러 분파인 암살단 본부 알라무트 성(城)에 기거하면서 연구를 진행했다. 1256년에 침입한 몽골인들에게 성을 내주고 항복했다.
몽골의 훌라구 칸은 1258년 바그다드를 공략하여 파괴할 때 투시를 자신의 충실한 조언자로 등용했다. 투시는 종교 유물국 책임자로서 자신의 직위를 이용하여 마라게에다 훌륭한 관측소를 지었다. 박학다식한 투시는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로 많은 책을 썼다. 그는 에우클레이데스·프톨레마이오스·아우톨리코스·테오도시우스·아폴로니오스 등의 저서 중 초기 아랍어 번역본들을 보충·개작했으며, 수학과 천문학 발전에 공헌했다.
그가 쓴 〈지즈 이 일하니 Zij-i Ilkhani〉는 놀랍도록 정확한 천체운동표이다. 또한 그의 〈교리의 추상적 개념 Tajrῑd al-⁽aqā⁾id〉은 시아파 교리에 대한 논문으로 지금까지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가장 유명하고 잘 알려진 그의 저작은 〈나시르의 윤리 Akhlāq Nasῑrῑ〉이다.
이것은 11세기 이븐 미스카와이의 〈윤리교육 Tahdhῑb al-akhlāq〉에 근거를 두고 쓴 그리스 전통 윤리에 관한 논문인데, 암살단 감옥에서 초고를 쓰고 나중에 그의 주인 몽골 황제를 위해 개정한 것이다. 이 저작은 영어로 번역되었다. 투시는 시아 12이맘파의 한 사람이었으나, 특히 〈타사부라트 Tasavvurat〉와 같은 수많은 이스마일리야 논문들을 쓴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는 이슬람의 여러 분파 학문에 공헌했으며, 유려한 철학적 산문체로 저술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철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