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657. 9. 25, 슬로바키아 케스마르크 |
---|---|
사망 | 1705. 9. 13, 투르크 이즈미트 |
국적 | 헝가리 |
요약 헝가리의 애국자.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에 저항한 헝가리 프로테스탄트의 지도자였다.
부유한 프로테스탄트 지주 가문에서 태어났지만, 아버지가 1670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인 합스부르크 왕가의 레오폴트 1세를 타도하려는 헝가리 유력자들의 음모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처형되자 트란실바니아로 이주했다. 가산을 몰수당한 그는 나중에 계속되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탄압정책에 맞서 헝가리 프로테스탄트의 저항운동을 이끌었고, 1680년 이들의 지도자로 선출되었다.
퇴쾨이는 황제가 프랑스와 싸우느라 여념이 없는 틈을 타서, 투르크인과 트란실바니아 군주의 후원을 얻어 헝가리 북부지방을 대부분 장악했다. 레오폴트 1세는 결국 헝가리의 자유를 회복시키고(1681, 소프론 조약) 헝가리 북부지방에 대한 퇴쾨이의 준지배권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퇴쾨이는 얼마 후 투르크인과 손잡고 황제에 대한 적대행위를 다시 시작했으며, 자신의 영토에 대해 독자적 지배권을 갖는 칭호(prince)를 채택했다.
1683년에 그는 투르크인과 손잡고 오스트리아의 빈을 점령하려는 역사상 최후의 공격을 벌였다. 그러나 이 포위작전은 실패했고, 퇴쾨이의 행운은 동맹국인 투르크의 행운과 함께 끝났다. 그의 반란은 분쇄되고, 요새는 점령당했으며, 아내는 빈으로 끌려갔다. 1690년 투르크가 그를 트란실바니아 대공 자리에 앉히고 제르네스트에서 황제의 군대를 무찔렀을 때(1690. 8) 잠시 행운을 되찾은 듯했다. 그러나 카를로비츠 평화조약(1699)이 맺어진 뒤, 그는 여생을 투르크에서 망명생활로 보내야 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