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통화주의

다른 표기 언어 monetarism , 通貨主義

요약 화폐공급이 경제활동의 중요한 결정요인이라고 주장하는 경제사상의 한 학파.

통화주의

ⓒ Verkhovynets Taras/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여기서 화폐공급이란 한 나라의 경제에서 주화·지폐·은행예금이라는 형태를 취하는 화폐의 총량을 말한다.

미국의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은 일반적으로 통화주의의 대표자로 간주된다. 프리드먼과 그의 지지자들은 오랜 기간 동안 지배적이었던 케인스 학파와는 매우 상이한 거시경제의 이론 및 정책을 주창했다. 그들의 보수주의적 접근은 1970년대와 1980년대초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통화주의 이론의 토대가 되는 것은 MV=PQ라고 표시되는 교환방정식이다. 여기서 M은 화폐공급이고 V는 화폐의 회전속도, 즉 1년 동안에 평균적인 화폐량이 재화나 용역에 지출되는 횟수를 가리킨다. P는 재화와 용역의 평균물가수준, Q는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양을 가리킨다.

통화주의자들은 방정식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인과관계가 작용한다고 믿는다. 즉 고정적이고 예측가능한 V하에서 화폐공급이 증가할 때 사람들은 P가 상대적으로 고정적이면 Q가 증가하고,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양이 증가하지 않으면 P가 상승한다고 예상한다. 화폐공급의 변화는 생산·고용 및 물가수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그러한 영향의 결과는 장기에 걸쳐서, 때로는 다양한 기간에 걸쳐 나타난다.

통화주의적 접근방법에서 핵심적인 것은 '통화주의적 규칙'에 입각하여 재정정책을 거부하는 것이다. 1963년 애나 J. 슈워츠와 공동집필한 〈미국의 통화사 1867~1960 A Monetary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867~1960〉에서 프리드먼은 조세정책의 변화나 정부지출의 증가와 같은 재정정책수단을 통한 정부개입은 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 또는 다른 경기순환변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려 했다. 또한 당국이 어떤 상황에 반응하여 정책을 시행할 때, 그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는 시점에서는 이미 상황이 변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통화공급을 변경시키려는 정부측의 자의적인 행위는 경제를 안정시키기보다는 악화시킨다.

이것은 특히 통화당국이 이자율 조정을 통해 인플레이션과 불황에 대응하려 할 때 나타난다. 프리드먼은 정부가 경제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그것은 통화공급의 증가율을 통제함으로써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통화공급을 국민총생산(GNP)의 성장가능성과 관련된 고정비율, 예를 들어 3~5%라는 비율로 증가시킨다는 단순한 규칙에 따라 안정화는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통화주의는 완만한 통화공급의 증가가 대체로 낮은 인플레이션하에서 안정적인 경제성장률을 보장한다. 그러나 이처럼 통화공급의 증가율과 경제성장을 결부시킨 통화주의자들의 논리는 1980년대 미국 경제의 실제적인 성과에 의해 반박되었다. 이때부터 통화주의 이론은 다소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새롭고 복합적인 형태의 은행예금이 만들어지면서 통화공급의 산출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저축유형이 모호하게 되었고, 또한 인플레이션과 이자율의 저하로 인해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통화공급의 효과를 예측하는 일이 더욱 어려워졌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제

경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통화주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