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통영국제음악제

다른 표기 언어 Tongyeong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 統營國際音樂祭

요약 작곡가 윤이상을 기리기 위해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열리는 음악제. 1999년 열린 윤이상 음악의 밤이 모체로 2002년부터 본격적으로 개최되었다. 매년 봄과 여름, 가을 등 3차례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2009년부터 페스티벌 시즌과 아카데미 시즌, 콩쿠르 시즌으로 구분되어 진행되고 있다. 이밖에 주변행사로 프린지 페스티벌이 통영시 일대에서 진행된다.

역사

'현존하는 현대음악의 5대 거장'으로 꼽히는 작곡가 윤이상을 기리기 위해 1999년에 개최되었던 ‘윤이상 음악의 밤’이 통영국제음악제의 효시이다. 이듬해인 2000년과 2001년 통영문화재단과 국제윤이상협회가 개최한 '통영현대음악제'의 이름로 본격적으로 출범한 음악제는 2002년 제1회 통영국제음악제로 개편되면서 대규모 음악 축제로 발전했으며, 같은 해 설립된 재단법인 통영국제음악제가 음악제를 운영했다. 동서양의 전통의 조화와 자연과의 화합을 지향하는 윤이상의 정신을 받들어 세계 곳곳에서 음악인들이 모여 매년 다른 주제로 각자의 아름다운 선율을 연주하는 자리이다. 2014년부터는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재단법인인 통영국제음악재단에서 주관하고 있다. 재단법인 동영국제음악제는 그해에 통영국제음악재단에 통합되었다.

진행방법

통영국제음악제는 매년 봄과 여름, 가을 등 3차례로 나누어 진행된다. 2009년부터 페스티벌 시즌과 아카데미 시즌, 콩쿠르 시즌으로 부르는데, 각각 통영국제음악제와 TIMF아카데미,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로 나뉘어 행사가 열린다. 창설 이래 주 연주장으로는 통영시민문화회관을 사용했으나 2014년부터는 그해 개관한 통영국제음악당을 사용하고 있다.

형식과 장르에 따라 현대음악, 고전음악, 고전주의, 낭만주의, 교향악, 실내악, 오페라 및 음악극 등의 다양한 공연을 선보이며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 현대음악 분야에서 강점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서주와 추상', '꿈', '공간', '기억', '유동', '만남', '자유', '동과 서', '뮤직(音樂)+', '내일의 소리', '아시아에서 세계로' 등의 주제가 선보였다.

아카데미와 콩쿠르

아카데미 시즌에 열리는 TIMF 아카데미는 2005년부터 30세 미만 아시아의 재능 있는 음악 인재들을 선발해 세계 각국의 우수 강사진의 레슨과 리허설, 마스터클래스, 워크숍, 공연 등 전 과정을 무료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콩쿠르 시즌에 열리는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는 세계적인 현대음악의 거장 윤이상을 기억하고 재능 있는 젊은 연주자를 발굴, 육성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대한민국 최초로 세계국제음악콩쿠르연맹(WFIMC)에 가입했으며, 2003년부터 첼로·피아노·바이올린 세 개의 부문이 번갈아가며 한 부문씩 개최되고 있다.

주변 행사

이와 함께, 통영국제음악제에는 프린지 페스티벌이 개최된다. 프린지는 1947년 에딘버러 국제 페스티벌의 주변부(Fringe)에서 초청받지 못한 작은 공연 단체들이 자생적으로 공연을 하면서 시작된 행사로, 독특하고 참신한 형식으로 예상치 못한 성공을 거두면서 축제를 더욱 축제답게 하는 행사라는 의미로 정형화 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통영국제음악제는 2002년부터 프린지 페스티벌을 개최하기 시작, 통영시와 부산, 경남 일원의 아마추어 음악인 36개 팀 약 200여명으로 개최되었다. 이후 계속 발전하여 통영 시내 어느 곳에서라도 공연을 볼 수 있을 만큼의 큰 규모로 성장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통영국제음악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