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조류 > 갈조강 > 모자반목 > 모자반과 |
---|---|
서식지 | 경사가 완만하고 울퉁불퉁한 바위 위 |
크기 | 약 10cm ~ 1m |
학명 | Hizikia fusiforme |
요약 갈조식물문 모자반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 경사가 완만하고 울퉁불퉁한 바위 위에 서식한다. 크기는 10cm~1m 정도이다. 식용이 가능한데, 식감이 독특하고 해조류 특유의 영양분이 많아 건강식품으로 인기가 좋다.
개요
갈조강 모자반목 모자반과에 속하는 조류. 학명은 ‘Hizikia fusiforme’이다. 식재료로 쓰이는 일이 많은데, 특유의 오독오독한 식감과 풍부한 영양소 덕에 건강식품으로 선호도가 높다. 한국에서는 주로 제주도에서 일상적으로 섭취한다.
형태
크기는 약 10cm~1m이다. 몸은 암수 딴 그루이고 섬유상의 헛뿌리가 나와 단단하게 바위에 붙어 자라며, 원기둥 모양으로 곧추서는데 한 번 깃털 모양으로 가지를 낸다. 색깔은 어두운 고동색을 띠어 갈조류에 속한다.
생태
한국과 중국, 일본에만 분포하는데, 파도의 영향을 받으며 경사가 완만하고 울퉁불퉁한 바위 위에서 무성하게 자란다. 한국에서는 동해안과 서해안, 제주도 등의 바닷가에서 발견할 수 있다. 번식은 유성생식과 영양번식으로 한다.
활용
채취하여 식용으로 쓴다. 김이나 미역처럼 대중적으로 접할 수 있지는 않지만, 제주도와 같은 지역에서는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식재료이다. 나물로 무쳐 먹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쌀과 함께 넣어 밥을 지어먹거나 김밥의 속재료로 쓰기도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