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텔스타

다른 표기 언어 Telstar

요약 1962년부터 발사되어 새로운 전자통신 시대를 연 일련의 통신위성.

통신위성에 대한 생각은 1945년 영국의 작가 아서 C. 클라크 경이 잡지기사에서 최초로 제시했다. 1960년 미국의 벨 전화연구소의 J. R. 피어스가 최초로 실험했는데, 그는 알루미늄으로 도금된 기구위성인 에코 1호의 발사 계획에서 실험기회를 잡았다. 피어스의 주장에 따라 에코에는 전화신호를 수신하여 이것을 다시 지구로 반사시키는 장치가 장착되었다.

더 발전된 개념으로 텔스타는 지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다른 지상국으로 다시 중계하도록 설계했다. 또한 무게가 77㎏인 이 위성은 3,600개의 태양전지로 재충전되는 니켈-카드뮴 전지에서 동력을 공급받았고, 1,000개 이상의 트랜지스터가 사용되었다. 핵심부는 신호를 자체적으로 1만 배 증폭시킬 수 있는 진행파관이며, 다른 소자와 함께 사용하면 더욱 크게 증폭시킬 수 있다. 1962년 7월 10일 텔스타가 발사된 뒤, 전이궤도(원지점은 5,600㎞)가 적절한 지점에 도달했을 때 메인 앤도버 근교에 있는 대형 나팔형 가동 안테나가 이 위성으로 방향이 고정되었다. 몇 분 뒤 최초로 텔레비전 영상이 대서양 너머로 전송되어 영국과 프랑스의 중계소를 거쳐 유럽의 텔레비전 화면에 나타났다. 또한 전화·전신·자료·사진전송·팩시밀리도 성공적이었다.

텔스타는 1963년 2월까지 잘 작동되다가 그뒤에 통신이 두절되었는데, 텔스타의 타원궤도 중 통과해야 하는 밴앨런대의 복사 때문인 듯하다. 근본적으로 비슷하지만 더 무거운 텔스타 2호는 1963년 5월 7일 좀더 높은 궤도(원지점은 1만 720㎞)로 발사되었다. 텔스타 이후의 통신위성들은 더 높은 원형궤도인 정지궤도(지구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해 있는 궤도)로 발사되는데 이런 위성 3대가 있으면 사실상 지상의 모든 지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컴퓨터/정보통신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텔스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