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인도 남동부에서 사용하는 드라비다어족의 언어.
안드라프라데시 주의 공용어이다. 텔루구어에는 여러 두드러진 지역 방언들뿐만 아니라 3개의 계층 방언(브라만·非브라만·하리잔[불가촉천민] 등이 사용하는 방언)이 있다. 공식 언어, 즉 문어는 구어 방언들과는 뚜렷이 구분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이중언어구조라고 한다.
다른 드라비다어족처럼 텔루구어는 권설자음(혀끝을 뒤로 말아올려 입천장에 대어 내는 소리로, 예를 들면 ṭ, ḍ, ṇ), 격·수·인칭, 시제를 접미사로 나타낸다. 낱말이나 음절을 반복하여 새로운 형태를 만드는 중복이 흔한데, 예를 들면 'pakapaka'(갑자기 터져 나오는 웃음)와 'garagara'(깨끗한·말끔한·깔끔한)가 있다.
텔루구어로 씌어진 기록은 633년의 것이며 문학은 텔루구어 작가 난나야가 힌두교 서사시 〈마하바라타 Mahābhārata〉를 번역한 것으로 시작되는데, 이것은 10세기 또는 11세기의 것이다. 텔루구 문자는 6세기의 칼루캬 왕조의 문자에서 유래했고 칸나다 문자와 관계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