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텔레비전의 발전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사물의 광학적인 상(像)을 전파에 실어 보내어 수신장치에 재현시키는 전기통신 방식의 발전.

고화질 텔레비전

고화질 텔레비전(High Definition Television/HDTV)은 선명하고 아름다운 컬러 화상을 넓고 큰 화면으로 재생하는, 현장감·생동감이 풍부한 텔레비전을 말한다. 이것은 현행 텔레비전의 5배 이상 정밀한 화상을 나타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화상을 현재의 텔레비전에 비해 25% 긴 넓은 화면 위에 재생한다.

HDTV의 성능을 뒷받침하는 영상 기기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사용된다. ① 카메라:새로운 설계방식에 기초하여 개발된 DIS(Diode-gun Impregnated-cathode Saticon)라는 HDTV용 촬상관을 사용한, 고해상도의 잔상이 적은 텔레비전 촬영용 카메라이다. ② 레이저 텔레시네 장치:영화 필름을 텔레비전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영화 필름의 정보를 저하시키지 않고 HDTV 신호로 변환한다. ③ 와이드 디스플레이 장치:정밀한 화상을 넓은 화면에 재생하는 HDTV용 30in(인치) 모니터, 투사형 디스플레이 등이다. 고품위 방송을 할 때에는 넓은 대역의 신호를 안정되게 고화질로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SHF(3~30kHz)·EHF(3~300kHz)대에 의한 무선 주파나 광섬유 등을 사용하게 된다.

미래의 화상 시스템

고속도이고 정밀도가 높기 때문에 곤란했던 텔레비전 신호의 디지털화가 1970년대에 확립되었다. 이것에 의해 흐린 화상을 선명하게 하거나 화상의 움직이는 부분만을 끄집어내는 일, 화상의 삽입, 색조의 채도 수정 등 광범위하면서 복잡한 화상 처리가 간단해질 수 있게 되었다. 화상 처리의 이러한 기술은 앞으로 HDTV에서 사용될 것이다.

위성 방송 시대

현재 텔레비전 방송은 한 국가에만 머무르지 않고, 통신 위성을 이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국제 중계가 빈번해졌다. 현재 세계에서는 NTSC·PAL·SECAM 3가지의 컬러 텔레비전 표준 방식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국제간의 프로그램 교환을 위해서는 한쪽의 표준 방식에서 다른 쪽의 표준 방식으로 교환을 해야 한다.

컬러 방식 주사선 수 프레임 수 영상 주파수 대역 (MHz) 채널 폭 (MHz)
한국·일본·필리핀· 미국·캐나다·멕시코 NTSC 525 30 4.2 6
영국·아일랜드 PAL 625 25 5.5 8
서독·서유럽 PAL 625 25 5 7~8
프랑스 SECAM 625 25 6 8
소련·동구권 SECAM 625 25 6 8
브라질 PAL 525 60 4.2 6
세계의 컬러 신호 전송방식1)각주1)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텔레비전의 발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